최근 국제통화기금(IMF)이 발표한 ’10월 세계경제전망’ 보고서에서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을 0.9%로 예측하며 지난 7월 전망치보다 0.1%p 상향 조정했다. 이는 그간 한국 경제가 직면해 온 저성장 국면에 대한 우려 속에서 희망적인 신호로 해석된다. 특히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올해보다 대폭 높은 1.8%로 유지한 것은, 우리 경제가 내년부터는 잠재 수준의 정상 성장 궤도로 복귀할 것이라는 기대를 반영한다.
이번 IMF의 한국 경제 성장률 상향 조정은 단순히 수치상의 변화를 넘어, 한국 경제가 당면한 문제점에 대한 진단과 그 해결 가능성을 보여준다. IMF는 전반적인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 역시 0.2%p 상향한 3.2%로 제시했으며, 이는 미국의 관세 인하·유예로 인한 불확실성 완화, 경제 주체들의 양호한 적응력, 그리고 달러 약세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 결과이다. 이러한 글로벌 경제 환경의 긍정적인 변화는 한국 경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으로 IMF는 한국의 올해 성장률을 7월 전망치보다 0.1%p 높은 0.9%로 전망했다. 이는 그동안 0%대 성장률이라는 답답한 국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던 한국 경제에 대한 우려를 다소 해소시켜 줄 수 있는 수치이다. 더 나아가 내년 성장률을 1.8%로 예상하며, 이는 올해와 비교했을 때 상당한 폭의 상승을 의미한다. 이러한 전망은 한국 경제가 내년부터는 잠재 성장 능력에 부합하는 수준으로 회복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IMF는 한국을 포함한 41개 선진국 그룹의 올해 성장률을 1.6%로, 내년에도 1.6%로 전망하며 기존 전망을 유지했다. 반면, 미국은 관세 인하, 감세 법안 통과, 금융 여건 완화 등에 힘입어 올해와 내년 모두 0.1%p씩 상향 조정된 2.0%, 2.1%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했다. 신흥개도국 그룹 역시 올해 4.2%, 내년 4.0%로 전망치를 유지했으며, 특히 중국은 무역 불확실성과 관세의 부정적 영향을 희석하며 올해 4.8%, 내년 4.2%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한편, 글로벌 물가상승률은 올해 4.2%, 내년 3.7%를 기록하며 전반적으로 하향 안정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는 국제적인 물가 상승 압력이 다소 완화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그러나 IMF는 세계 경제의 리스크가 여전히 하방 요인으로 기울어져 있다고 진단하며, 무역 불확실성, 이민 제한 정책으로 인한 생산성 악화, 재정 및 금융시장 불안, 그리고 AI 등 신기술에 대한 재평가 가능성을 주요 하방 요인으로 꼽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IMF는 무역 갈등 완화, 각국의 구조 개혁 노력 가속화, 그리고 AI 도입을 통한 생산성 향상 등이 세계 경제의 상방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전망도 함께 제시했다. 이러한 국제적인 경제 환경의 변화 속에서 IMF의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 상향은 한국 경제가 당면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고 회복 탄력성을 보여줄 수 있다는 기대를 갖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