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을 0.9%로 전망하며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지난 7월 제시한 전망치보다 0.1%p 소폭 상향 조정되었으나, 여전히 1%에 미치지 못하는 낮은 성장률 전망은 한국 경제가 구조적인 저성장 국면에 진입한 것은 아닌지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을 던진다. 특히 내년 성장률 전망치 1.8%는 올해보다 대폭 상승한 수치이지만, 이는 한국 경제가 잠재 수준의 정상 성장 궤도로 복귀할 것이라는 희망적인 예측일 뿐, 현재의 어려움을 타개할 만한 실질적인 동력을 보여주지는 못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IMF는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을 3.2%로 예측하며, 이는 지난 7월 전망보다 0.2%p 상향 조정된 수치다. 이러한 세계 경제의 소폭 개선 전망은 미국의 관세 인하 및 유예에 따른 불확실성 완화, 경제 주체들의 양호한 적응력, 그리고 달러 약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그러나 IMF는 전반적인 세계 경제 리스크가 여전히 하방 요인으로 기울어져 있다고 진단하며, 주요 하방 요인으로 무역 불확실성, 이민 제한 정책으로 인한 생산성 악화, 재정 및 금융시장 불안, 그리고 인공지능(AI) 등 신기술에 대한 재평가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러한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은 한국 경제의 회복에도 그림자를 드리울 수밖에 없다.
IMF의 이번 전망은 한국 경제가 직면한 구조적인 문제들을 해결하지 않고서는 0%대 저성장의 늪에서 벗어나기 어렵다는 점을 시사한다. 특히 선진국 그룹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가 1.6%로 소폭 상향 조정되고, 중국, 인도 등 신흥개도국 그룹의 성장률 전망치 또한 4.2%로 상향 조정된 것과 비교하면 한국 경제의 더딘 회복세를 더욱 명확히 보여준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 경제가 내년 1.8% 성장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IMF가 제시한 글로벌 경제의 상방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잠재력, 즉 무역 갈등 완화와 구조개혁 노력 가속화, 그리고 AI 도입을 통한 생산성 향상이라는 요소들을 어떻게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심도 있는 고민과 구체적인 실행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