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AI 허브 국가이자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야심찬 목표를 세웠지만, 현재 한국 AI 생태계는 여러 측면에서 경쟁력 약화라는 근본적인 문제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국가 AI 경쟁력을 한 단계 끌어올리기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글로벌 AI 선도 기업인 OpenAI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모색한다.
이번 MOU의 핵심은 국내 AI 생태계 전반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있다. 먼저,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한 협력이 추진된다. 이는 특정 지역에 편중된 AI 기술 및 인프라를 전국적으로 확산시켜 수도권과의 격차를 해소하고, 전국적인 AI 발전 동력을 확보하려는 목적이다. 또한, 공공 부문의 AI 전환을 활성화하여 행정의 효율성을 높이고 대국민 서비스의 질을 개선하는 데에도 OpenAI의 기술력과 경험이 지원될 예정이다.
AI 인재 양성 역시 시급한 과제 중 하나다. 급변하는 AI 기술 환경에 맞춰 고급 인력을 체계적으로 양성하기 위한 공동 프로젝트가 지원되며, 이는 미래 AI 산업을 이끌어갈 핵심 인력난 해소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불어, 국내 스타트업 생태계에 대한 지원도 포함된다.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가진 초기 단계의 스타트업들이 성장할 수 있도록 기술적, 사업적 지원을 강화하여 AI 산업의 새로운 성장 동력을 발굴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더 나아가, OpenAI의 글로벌 AI 데이터센터 구축 및 AI 확산 과정에 한국 기업들의 참여를 지원함으로써, 국내 기업들이 세계 AI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글로벌 협력 기회를 넓힐 수 있도록 돕는다.
배경훈 부총리 겸 과기정통부 장관은 “글로벌 AI 선도기업과 협력하여 국가 AI 대전환을 가속화하고, 국내 AI 생태계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히며, 이번 협력이 한국을 AI 3대 강국이자 아시아·태평양의 AI 허브 국가로 도약시키는 중요한 발판이 될 것임을 시사했다. 이러한 다각적인 협력을 통해 한국 AI 생태계의 약점들이 보완되고, 국가 AI 경쟁력이 실질적으로 강화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