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부처 및 민간, 지방자치단체 등 흩어져 있던 국가 인공지능(AI) 역량 결집에 대한 요구가 지속되어 왔다. 각 주체들이 개별적으로 추진하는 AI 관련 정책 및 사업들은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지 못하고, 국가 차원의 AI 혁신 동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인공지능 3대 강국 도약’이라는 국가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근본적인 체질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정부는 과학기술 및 인공지능 분야를 총괄하는 부총리 체제를 본격 출범시킨다. 이는 분산되어 있던 정부, 민간, 지방자치단체의 AI 관련 자원과 역량을 하나로 결집하여 국가 AI 혁신을 효과적으로 주도하기 위한 핵심적인 조치이다. 이번 정부조직법 개정안은 2025년 9월 30일 국무회의를 통과함으로써 법적 기반을 마련했으며, 이를 통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인공지능 3대 강국 도약이라는 국가적 비전 이행에 더욱 박차를 가할 수 있게 되었다.
과학기술·인공지능 총괄 부총리 체제 출범은 AI 분야의 정책 수립 및 집행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국가 차원의 AI 생태계를 더욱 견고하게 구축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통합된 리더십 아래 정부, 민간, 지자체가 긴밀하게 협력한다면, 흩어져 있던 자원과 역량이 시너지를 발휘하여 AI 기술 개발 및 산업 육성에 가속도가 붙을 것이다. 궁극적으로 이는 대한민국이 인공지능 분야에서 3대 강국으로 도약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