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성장과 탄소 배출량의 동시 달성, 즉 경제성장과 탄소의 탈동조화(decoupling)라는 전 지구적 과제가 눈앞에 놓여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후 위기 시대의 국가 경쟁력을 확보할 새로운 산업으로 ‘기후테크(Climate Tech)’가 주목받고 있다. 단순한 온실가스 감축 기술을 넘어, 지속 가능한 친환경 경제 체제를 구축하고 지구의 미래를 담보할 핵심 수단으로 부상하고 있는 기후테크 분야에서의 한국의 경쟁력 확보가 시급하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2023년 대통령직속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이하 탄녹위)는 기후테크를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기후완화기술과 기후변화 피해를 줄이는 기후적응기술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산업으로 정의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기후테크에 대한 관심이 뜨거운 것은 각국이 부여된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부단한 노력을 경주해야 하는 현실 때문이다. 우리나라 역시 2030년까지 2018년 온실가스 배출량 대비 40% 감축이라는 야심찬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배출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다양한 기술이 시장에 등장하여 빠르게 확산되는 것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기후 변화의 속도를 고려할 때, 당장 탄소 배출량을 ‘0’으로 만든다고 해서 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이미 진행 중이거나 앞으로 발생할 기후 변화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기술과 산업의 육성 역시 시급한 과제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기후테크는 단순한 환경 규제 대응을 넘어, 경제 성장과 직결되는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기후테크를 분류하는 명확한 표준은 부재하며, 국가별로 다소 상이한 분류 체계를 적용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탄녹위는 기후테크를 클린테크(Clean Tech), 카본테크(Carbon Tech), 푸드테크(Food Tech), 에코테크(Eco Tech), 지오테크(Geo Tech)의 다섯 가지 분야로 나누어 분류하고 있다. 이러한 분류를 통해 기후테크의 다각적인 측면을 조명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한국의 기후테크 산업은 아직 걸음마 단계에 머물러 있어, 5대 분야 모두에서 세계적인 유니콘 기업(기업가치 10억 달러 이상, 창업 10년 이하 비상장 스타트업)을 배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다른 국가들의 경우, 탄소 포집 기업 ‘클라임웍스’, 폐기물 처리 및 재활용 분야의 ‘루비콘’, 기업의 탄소 측정 및 보고를 위한 ‘워터쉐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유니콘 기업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들의 사업 모델은 일반 대중에게 다소 생소할 수 있으나, 지구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서는 이러한 기후테크 유니콘 기업의 등장과 성장이 필수적이다.
기후테크는 단순히 기후 변화 대응이라는 본질적인 역할을 넘어, 전 세계 무역 및 경제 질서 논의에서도 핵심적인 아젠다로 떠오르고 있다. 미국이 주도하는 인도 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는 2024년부터 200조 원 규모의 역내 청정 경제 분야 협력을 본격화하며 기후테크를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 IPEF의 청정 경제 협정은 참여국들이 청정에너지원부터 탄소 저감 기술, 탄소 거래 시장에 이르기까지 산업 전반에 걸쳐 기술, 규범, 표준 협력을 강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는 각 국가별로 개별적으로 진행되던 기후테크 논의를 표준화를 통해 더욱 현실적이고 효율적인 전 지구적 기후 변화 대응 ‘수단’으로 발전시킬 가능성을 높인다.
결론적으로, 한국의 미래, 더 나아가 지구의 미래를 위해서는 기술 혁신을 통한 새로운 산업 혁명이 절실하며, 그 중심에는 기후테크가 자리할 것이다. 한국의 우수한 과학 기술력을 바탕으로 카본, 클린, 에코, 푸드, 지오테크 모든 분야에서 세계를 선도하는 기후테크 기업을 탄생시켜야 한다. 과거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경제 대국으로 성장했던 한국의 저력을 바탕으로, 정부, 지자체, 기업, 민간이 협력하여 교육, 투자, 제도가 뒷받침되는 견고한 기후테크 생태계를 구축한다면 충분히 세계적인 기업을 육성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