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서 다리 하나만 건너면 닿는 강화도는 흔히 역사와 호국의 섬으로 불린다. 제주, 거제, 진도에 이어 국내 네 번째로 큰 섬인 강화도는 선사시대 고인돌부터 대몽항쟁의 거점, 서구 열강의 침략을 막아낸 관문까지 유구한 역사의 흔적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역사적 위상과는 별개로, 강화는 계절마다 입맛을 돋우는 식도락의 땅이기도 하다. 봄에는 숭어회, 여름에는 병어회, 가을에는 대하와 갯벌장어 등 싱싱한 해산물이 풍성하다. 순무와 고구마 같은 특산물도 있지만, 강화의 진정한 매력은 해산물만으로도 사계절 만족스러운 미식 경험을 선사한다는 점에 있다.
이처럼 다채로운 매력을 지닌 강화는 또한 한민족의 정신적 뿌리를 상징하는 마니산의 고장이기도 하다. 해발 472.1m의 마니산 정상에는 단군왕검이 하늘에 제사를 올렸다는 참성단이 자리하고 있으며, 이는 개천절 제례와 전국체전 성화 채화 등 민족의 영산으로서의 상징성을 더한다. 마니산은 등반 자체가 크게 어렵지 않으면서도 한민족으로서의 정체성을 일깨우는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강화의 이러한 면모들은 최근 ‘강화소창체험관’과 ‘동광직물 생활문화센터’가 로컬100에 이름을 올렸을 때 많은 이들에게 의아함을 안겨주었다. 이미 국내 자본으로 세워진 최초의 방직공장을 카페로 변모시킨 명소가 존재하는 터라, 강화에 또 어떤 새로운 볼거리가 있을지에 대한 궁금증이 일었던 것이다. 하지만 이곳을 직접 둘러본 경험은 단순한 호기심을 넘어 깊은 감동과 쾌감을 선사했다.
강화는 과거 직물 산업으로도 번성했던 도시다. 1933년 강화 최초의 인견 공장인 ‘조양방직’ 설립 이후 1970년대까지 무려 60여 개의 방직 공장이 운영되었으며, 현재도 6개의 소창 공장이 옛 방식 그대로 소창을 직조하고 있다는 사실은 놀라움을 자아낸다. 소창, 인견 제조로 명성을 떨쳤던 강화 직물의 역사와 문화를 보존하기 위해 폐 소창 공장 ‘동광직물’은 생활문화센터로, 1938년에 건축된 한옥과 염색 공장 ‘평화직물’ 터는 ‘소창체험관’으로 새롭게 태어났다.
소창은 주로 옷, 행주, 기저귀 등에 사용되는 천으로, 면화에서 뽑아낸 실로 짠다. 일제강점기부터 면화는 인도네시아나 파키스탄에서 수입되었으며, 강화는 수원과 함께 전국 3대 직물 도시로 꼽혔다. 강화읍 권에만 60여 개의 공장이 성행했고 4,000여 명의 직공이 근무하며 활발한 경제 활동을 펼쳤다. 당시에는 12시간씩 주야간 교대 근무를 하며 먼지 속에서 일했지만, 큰 방직 공장에서 일하는 것은 어린아이들에게도 꿈이었을 만큼 중요한 일자리였다.
이처럼 직물 산업은 강화 여성들의 억척스러운 삶과도 깊숙이 연결되어 있었다. 완성된 방직물을 둘러멘 강화 여인들은 삼삼오오 짝을 지어 전국 방방곡곡을 누비며 직접 판매에 나섰다. 중간 상인 없이 직접 판매했기에 마진이 좋았고, 가까운 북한 개풍까지도 다녀왔다. 험난한 여정 속에서 끼니를 해결하기 위해 앞치마에 싸간 것은 바로 강화 새우젓이었다. 배고플 때 아무 부엌이나 들어가 얻은 밥 한 덩이에 곁들여 먹었던 이 새우젓은 당시 강화 여인들에게 유일하게 챙겨갈 수 있었던 귀한 반찬이었다.
전국 물량의 70~80%를 차지하는 강화 새우젓은 서해안에서 잡히는 젓새우 중에서도 월등한 맛을 자랑한다. 넓은 갯벌의 좋은 서식 환경과 더불어 한강, 임진강 두 개의 거대한 강물이 흘러들어 강화 앞바다의 젓새우 맛은 더욱 깊고 풍부하다. 짠맛보다는 들큼하면서도 담백한 맛은 늦가을 김장철이면 섬을 들썩이게 할 만큼 큰 인기를 끌었다.
그리고 이 강화 새우젓은 ‘젓국갈비’라는 소박한 향토음식을 탄생시켰다. 젓국갈비는 이름에서 갈비가 언급되지만, 실상 주인공은 단연 새우젓이다. 돼지고기에서 우러나는 기름기와 더불어 새우젓 특유의 짭조름한 감칠맛, 배추에서 우러난 단맛이 조화롭게 어우러져 오묘하면서도 깊은 맛을 낸다. 인공 조미료로는 흉내 낼 수 없는 새우젓의 미미한 감칠맛이 맛의 한 끗을 좌우하며, 이는 ‘대미필담(大味必淡)’, 즉 맛있는 음식은 반드시 담백하다는 말을 떠올리게 한다.
오늘날 강화의 ‘소창’과 ‘새우젓’은 단순한 생산품을 넘어, 억척스럽게 삶을 개척했던 강화 여인들의 애잔한 역사와 삶의 흔적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고된 노동과 험난한 여정 속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았던 그들의 삶은 짠맛 나는 새우젓처럼, 그리고 때로는 기저귀를 삶아 널던 어머니의 모습처럼 우리네 인생의 애잔함을 되새기게 한다. 함민복 시인의 시처럼, 눈물은 왜 짠지, 새우젓은 왜 이다지 짠지, 우리네 인생은 왜 이렇게 애잔한지, 강화의 새로운 문화 공간들은 이러한 질문에 대한 깊은 성찰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