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이 반갑다는 옛말은 이제 사라졌다. 한낮 기온 35도를 넘어서고 열대야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폭염은 피할 수 없는 일상이자 곧바로 대응해야 할 재난이 되었다. 2023년 여름, 대한민국은 온열질환으로 2800여 명이 고통받았고 32명이 목숨을 잃었다. 이는 폭염이 단순히 ‘덥다’는 말로 치부할 수 없는, 생명을 위협하는 국가적 위기 상황으로 진화했음을 명확히 보여준다. 기상 전문가들은 이러한 현상을 과거의 경험과 관측치를 뛰어넘는 극도로 이례적이고 파괴적인 ‘극한기후’로 규정하고 있으며, 지구온난화 심화로 인해 한반도의 여름은 더욱 길어지고 폭염은 더욱 빈번하고 강력해지는 추세다. 최근 10년간 우리나라 평균기온은 지속적으로 상승했고, 폭염 일수와 강도 역시 증가하며 이제 우리는 폭염이 일상화된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문제는 이러한 폭염의 피해가 모든 사람에게 동일하게 작용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폭염의 고통은 노인, 만성질환자, 어린이, 야외 근로자 등 취약계층에게 집중되며, 특히 농촌의 고령 농업인과 도시 건설 현장의 근로자들이 가장 심각한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하지만 여전히 우리 사회는 폭염을 일반적인 계절 현상 정도로 가볍게 여기는 경향이 있다. 폭염은 눈에 보이지 않게 조용히 다가오는 ‘침묵의 살인자’와 같기에, 재난행정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는 시점이다. 과거 재난 발생 이후의 수습과 대응에 초점을 맞췄던 전통적인 재난행정은 이제 소프트웨어적으로 위험을 예측하고 피해를 예방하는 적극적인 행정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무더위쉼터 확대, 폭염 알림 서비스, 방문 점검 등 점진적인 개선을 추진하고 있지만, 여전히 무더위쉼터 접근의 어려움이나 스마트폰 부재로 정보를 얻지 못하는 취약계층과 같은 현장의 사각지대가 존재한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민관 협력을 넘어선 첨단 기술 기반의 하드웨어적 재난 대응 강화가 필수적이다. 중앙정부, 지자체, 그리고 민간기업이 손잡고 AI와 빅데이터 등 첨단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폭염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이미 일부 지역에서는 AI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폭염 관리시스템이 도입되어, 취약지역의 폭염 위험도를 실시간으로 예측하고 위험군을 사전에 파악하여 적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행정기관과 민간이 신속하고 정확한 예방 대책을 추진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 분야 역시 여름철 각종 문화행사와 스포츠 행사가 폭염 속에서 진행되는 현실을 고려하여 폭염 대응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축제 및 행사 주최 기관과 협력하여 행사장 내외에 무더위쉼터와 쿨링존 등 충분한 냉방 시설을 설치하고, AI 기반의 스마트 모니터링을 통해 실시간으로 관람객의 안전을 관리해야 한다. 또한, 행사 시간을 폭염 위험 시간대를 피해 탄력적으로 조정하는 등 안전한 행사 개최를 위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 마련이 필요하다. 체육시설과 경기장에도 AI 기반의 냉방시스템을 도입하고, 야외 체육 행사 시 무더위 휴식 시간을 의무화하여 국민 건강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문화를 정착시켜야 한다.
기술적, 제도적 장치가 아무리 마련되어도 국민 개개인의 관심과 책임의식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국민은 폭염 특보와 경보 등 재난 정보를 적극적으로 확인하고, 이웃의 상황을 살피는 ‘공동체 의식’을 회복해야 한다. 폭염으로 가장 고통받는 이들은 다름 아닌 우리 주변의 가족과 이웃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기후변화가 심화되는 오늘날,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 현상은 앞으로 더욱 빈번하게 발생할 것이다. 정부와 민간, 시민사회가 긴밀히 협력하고 AI 등 첨단 기술을 선제적으로 도입하여 대응하지 않는다면 매년 여름 같은 비극은 반복될 수밖에 없다.
폭염이 일상화된 지금, 문제의 심각성을 명확히 인식하고 적극적인 예방 및 대응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무엇보다 시급하다. 이제 ‘더위는 참으면 된다’는 구시대적 사고방식에서 벗어나야 한다. 폭염은 피할 수 없는 계절 현상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관리하고 예방해야 하는 국가적 재난이다. 정부와 민간은 기술과 정책을 적극 도입하고, 국민은 작은 실천을 통해 서로의 안전을 지켜야 한다. 더 이상의 희생자를 만들지 않기 위해 모두가 힘을 모아야 한다. 정부와 국민이 함께 손잡고 극한기후 시대를 지혜롭게 헤쳐 나가야 한다. 올여름, 우리 모두의 작은 관심과 적극적인 대응이 더 안전하고 건강한 대한민국을 만드는 출발점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