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의 국정 운영에 있어 국민과의 소통은 무엇보다 중요한 요소로 꼽힌다. 그러나 소통의 방식과 그 실효성에 대한 의문은 끊이지 않고 제기되어 왔다. 특히 이전 정부들의 경우, 대통령의 메시지 전달에 치중하거나 형식적인 소통에 그치면서 국민의 목소리를 제대로 듣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대통령이 하고 싶은 말만 하고 정작 국민의 목소리에는 귀 기울이지 않는다면, 진정한 의미의 소통이라고 볼 수 없다는 지적이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새로운 정부는 ‘경청통합수석’이라는 이례적인 직책을 신설하며 소통 방식의 변화를 예고했다. 이는 단순한 명칭 변경을 넘어, 대통령의 소통 철학이 ‘말하기’에서 ‘듣기’로 전환되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역대 정부의 대통령실 조직에서 대통령의 입 역할을 주로 담당했던 것은 ‘홍보수석’ 또는 ‘국민소통수석’이었다. 이 직책들은 국민에게 메시지를 전달하고 소통을 강화하겠다는 취지로 마련되었으나, 궁극적으로는 대통령의 의중을 국민에게 알리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이에 반해 ‘경청통합수석’의 신설은 대통령의 ‘귀’ 역할을 강화하려는 시도로 보인다. ‘성인(聖人)’의 한자를 풀이할 때 귀, 입, 왕이 합쳐진 글자라는 점은, 진정한 지혜는 단순히 말하는 데서 오는 것이 아니라 상대방의 목소리를 깊이 듣는 데서 비롯된다는 점을 시사한다. 과거 민정수석실이 여론 동향 파악이라는 역할을 수행했음에도 불구하고 권력 기관 통제에 치중하며 대통령의 진정한 귀 역할을 하지 못했던 점을 고려할 때, ‘경청통합수석’은 대통령이 국민의 목소리를 더욱 직접적으로 듣고 국정에 반영할 수 있는 중요한 통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렇다면 대통령의 ‘경청’은 구체적으로 어떤 의미를 가지며, 어떻게 실천되어야 할까. 첫째, 대통령의 경청은 자신과 다른 의견을 가진 이들의 목소리까지 포용하는 자세를 의미한다. 지난 6월 26일 국회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추경 예산안 시정연설 후 야당 의원들과 스스럼없이 대화하고 권성동 의원의 어깨를 치는 모습은, 이러한 ‘경청’의 실천 가능성을 보여주는 단면이다. 대통령이 반대편의 목소리에도 귀 기울일 때 비로소 정치의 복원과 국민 통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대통령의 경청은 단순한 제스처에 그치지 않고 실제 정책 변화로 이어져야 한다. 국민의 목소리를 듣기만 하는 ‘상징적 반응성’을 넘어, 들은 내용을 정책에 반영하는 ‘실질적 반응성’을 보여야 한다. 지난 6월 25일 광주에서 열린 타운홀 미팅에서 한 시민이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진상규명을 요구했을 때, 이재명 대통령은 “지금 당장 제가 나선다고 뭐 특별히 될 것 같지는 않다”고 답했다. 참사로 가족을 잃은 시민에게는 대통령의 공감이 위안이 되었겠지만, 정책 변화에 대한 기대감 역시 동시에 불러일으켰을 것이다. 비록 모든 민원을 정책에 반영할 수는 없겠지만, 대통령은 ‘국민주권정부’라는 이름에 걸맞게 국민의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하려는 노력을 보여야 한다. 대통령의 경청이 ‘실질적 반응성’으로 이어질 때, 국민들은 정권 교체의 효능감을 느끼고 이는 이재명 정부의 개혁 성공을 위한 굳건한 국민적 지지로 이어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