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 출범과 함께 대통령실에 ‘경청통합수석’이라는 새로운 직책이 신설되며 역대 정부와는 다른 소통 철학을 예고하고 있다. 이는 단순히 대통령의 ‘말하기’를 넘어 ‘듣기’ 즉, 국민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겠다는 강력한 의지의 표명으로 풀이된다. 대통령실 조직 개편은 신임 대통령의 통치 철학과 개성을 가장 명확하게 드러내는 지표 중 하나로, 이번 ‘경청통합수석’의 등장은 현 정부가 직면한 소통의 문제를 정면으로 해결하겠다는 메시지를 던지고 있다.
과거 역대 정부에서 대통령의 대국민 소통 창구 역할은 주로 ‘홍보수석’ 또는 ‘국민소통수석’ 등의 명칭으로 불리며 대통령의 입 역할을 수행해왔다. 이러한 명칭 변화는 민주화 이후 언론 환경의 변화와 국민과의 소통 강화를 위한 노력의 반영이었으나, 진정한 대통령의 소통은 일방적인 메시지 전달을 넘어 국민의 목소리를 듣는 것에서 시작된다는 근본적인 물음이 제기되어 왔다. 대통령이 아무리 다양한 방식으로 국민에게 말을 걸더라도, 국민의 목소리를 듣는 행위가 동반되지 않는다면 진정한 소통으로 평가받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이는 인류 역사상 위대한 지혜를 남긴 성인(聖人)의 의미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성(聖)’이라는 글자가 귀(耳), 입(口), 왕(王)이 합쳐진 형태임을 감안할 때, 성인은 단순히 말을 잘하는 사람이 아니라 대중의 목소리를 경청하는 사람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전통적으로 대통령의 ‘귀’ 역할을 담당했던 민정수석실은 본연의 역할인 민심 파악보다는 권력 기관 통제에 치중하는 경향을 보여왔으며, 이로 인해 대통령의 진정한 귀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경청통합수석’의 신설은 대통령에게 소통의 핵심이 ‘말하기’가 아닌 ‘듣기’에 있음을 천명하며, 대통령의 귀 역할을 하는 공식적인 기구가 마련되었다는 점에서 매우 긍정적인 신호로 받아들여진다. 이는 곧 국민의 목소리를 경청하고 국정 운영에 반영하려는 새 정부의 강력한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그렇다면 대통령이 국민의 말을 ‘경청’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 어떤 의미를 내포하는가. 첫째, 대통령의 경청은 자신의 지지 세력의 목소리뿐만 아니라 반대자의 목소리까지 기꺼이 듣는 것을 포함해야 한다. 이는 진정한 의미의 소통이며, 정치의 복원과 국민 통합을 이루는 중요한 열쇠가 된다. 지난 6월 26일 국회에서 추경예산안 시정연설 후 야당 의원들과 스스럼없이 소통하는 모습은 이러한 대통령의 열린 자세를 기대하게 하는 장면이었다.
둘째, 대통령의 경청은 단순한 제스처에 머물러서는 안 되며, 실제 정책의 변화로 이어지는 ‘실질적 반응성’을 보여야 한다. 국민의 목소리를 듣는 행위에 그치는 ‘상징적 반응성’을 넘어, 그 내용을 국정에 반영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지난 6월 25일 호남 지역 타운홀 미팅에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유가족의 진상 규명 요구에 대해 대통령은 즉각적인 개입보다는 수사 조사 기관의 진행 상황을 기다려줄 것을 당부하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비록 이러한 답변이 정책 변화로 이어질지는 미지수이지만, 국민의 슬픔에 공감하고 정책 변화에 대한 기대를 심어주려는 노력은 국민주권정부로서 당연히 기울여야 할 책임이다.
대통령의 경청이 ‘상징적 반응성’을 넘어 ‘실질적 반응성’으로 구현될 때, 국민은 정권 교체의 효능감을 느끼게 될 것이다. 이러한 효능감이 국민적 지지로 축적될 때, 이재명 정부는 개혁 과제를 성공적으로 완수하며 국민적 신뢰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경청통합수석’의 신설은 이러한 기대감을 현실로 만들 중요한 출발점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