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들이 자주 사용하는 공공 서비스 웹사이트들이 정작 기본적인 데이터 수집 시스템조차 갖추지 못해 사용자 경험을 저해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는 결국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필수적인 데이터 기반의 혁신을 가로막는 근본적인 문제로 분석된다. 박태웅 녹서포럼 의장은 이러한 문제를 “로그(Log)가 없는 웹페이지를 일만 년을 운영한들, 그 서비스는 조금도 좋아지지 않는다”고 꼬집었다.
‘로그’란 본래 항해일지를 의미했으나, 현대 IT 시스템에서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모든 이벤트를 기록하는 기록 시스템을 지칭한다. 로그인, 파일 삭제, 시스템 오류 발생 등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순서대로 기록하며, 애플리케이션 로그, 보안 로그 등 다양한 형태로 활용된다. 이러한 로그 데이터는 웹사이트의 사용자 행동 패턴을 파악하고 시스템 성능을 개선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그러나 박 의장의 지적에 따르면, 우리 주변의 많은 공공 서비스 홈페이지와 애플리케이션에는 이러한 로그 시스템이 제대로 구축되어 있지 않다. 이는 곧 어떤 메뉴가 자주 사용되는지, 사용자들이 어떤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고 이탈하는지 등을 파악할 방법이 전무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메뉴 배치의 적절성을 판단하거나, 느린 로딩 속도로 인해 사용자가 불편을 겪는 경우를 즉각적으로 인지하고 개선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더 나아가,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다 좌절감을 느끼고 중도에 포기하는 상황조차 파악하지 못하게 만든다. 이러한 데이터 부재는 결국 공공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어렵게 만드는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AI 시대의 도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지능형 시스템 구축의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킨다. AI는 데이터를 먹고 성장하며, 데이터는 꾸준히 쌓이고 기계가 읽을 수 있으며 통합될 수 있어야 진정한 ‘데이터’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공무원들이 AI 비서를 통해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과거 유사 사례를 바탕으로 시너지를 창출하며, 회의록 기반의 자동 일정 관리까지 기대하는 것은 모두 충분한 데이터 축적 시스템을 전제로 한다.
박태웅 의장은 AI 전환을 단순히 AI 기술 도입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소프트웨어에 대한 이해, 클라우드 기반 시스템 활용의 필요성 인식, 그리고 무엇보다 ‘더 스마트하게 일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진정한 AI 전환이 가능하다고 강조한다. 일이 진행될수록 자연스럽게 데이터가 축적되는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로그와 같은 기초적인 데이터 수집 시스템의 완비를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기반이 갖춰지지 않은 상태에서의 AI 도입은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와 같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