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라는 거대한 도전 앞에 한국 사회는 에너지 전환이라는 숙제를 안고 있다. 특히 석탄발전은 대기오염과 온실가스 배출의 주범으로 지목되며, 이를 단계적으로 축소하고 청정 에너지원으로 전환하는 것은 피할 수 없는 과제가 되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기후에너지환경부는 10일, 김성환 장관의 서부발전 태안석탄발전소 방문을 통해 노후 석탄발전기 폐지 추진 현황과 산업안전 관리 실태를 점검하며 기후위기 대응 정책의 구체적인 실행 의지를 드러냈다. 이번 방문은 단순한 현장 점검을 넘어, 새 정부의 청정전력전환 정책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음을 알리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태안석탄 1호기를 시작으로 석탄발전기를 단계적으로 폐지해 나갈 계획이다. 오는 12월 가동을 종료 예정인 태안석탄 1호기는 새 정부의 첫 석탄발전 폐지 사례가 된다. 문제는 이러한 발전소 폐지가 필연적으로 수반하는 인력 문제다. 하지만 정부는 일자리 상실 없는 정의로운 전환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발전 인력 재배치 계획을 구체화했다. 태안석탄 1호기의 폐지로 인해 발생하는 129명의 발전 인력 중, 서부발전 본사 소속 65명은 구미 천연가스 발전소로 재배치될 예정이며, 협력업체 소속 64명은 태안 지역 내 다른 석탄발전기로 재배치되어 고용 안정을 도모한다. 이는 에너지 전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회적 갈등을 최소화하고, 노동자들의 삶의 터전을 지키겠다는 정부의 확고한 의지를 보여준다.
더불어, 정부는 발전소 운영 과정에서의 안전 문제에도 철저한 대비 태세를 갖추고 있다. 지난 6월 2일 발생했던 고 김충현 씨의 산업재해와 같은 비극이 다시는 일어나지 않도록 강력한 안전 강화 대책을 병행 추진한다. 이를 위해 정부는 민주노총과 고용안정 협의체, 한국노총과 정의로운 전환 협의체를 구성하여 현장 안전 강화와 노동자 보호를 위한 노사정 협의를 지속적으로 이어가고 있다. 김성환 장관은 이러한 노력을 강조하며, “이번 태안석탄발전소 방문은 기후위기에 대응한 녹색 대전환의 신호탄이자 정의로운 전환으로 일자리도 반드시 지킬 것이라는 정부의 강력한 의지를 알리는 첫걸음”이라고 밝혔다. 또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삼아 산업재해를 철저히 예방하겠다”는 약속을 통해 국민적 신뢰를 얻고자 했다. 이러한 정책들이 성공적으로 이행된다면, 기후위기 대응이라는 시대적 과제를 달성하는 동시에 에너지 전환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부담을 최소화하며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