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 시대, 다가오는 추석 명절을 앞두고 서민과 소상공인들의 경제적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특히 생계 유지에 필수적인 식비, 의료비, 에너지 비용 부담은 물론, 자금 조달의 어려움은 명절을 더욱 힘들게 만들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정부는 서민금융 공급 확대와 임금체불 근로자 지원 강화, 핵심 생활비 경감, 소상공인·중소기업 명절자금 지원 등을 골자로 하는 종합적인 대책을 발표하며 민생 안정을 도모하고 나섰다.
정부는 우선 서민들의 금융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총 1,145억 원 규모의 서민금융을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청년층을 위한 햇살론 유스에 400억 원이 지원되며, 불법 사금융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대출에는 200억 원, 그리고 최저 신용자를 위한 보증부대출에는 545억 원이 투입된다. 이는 금융 취약 계층의 자금난 해소에 직접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임금체불로 인해 생계에 어려움을 겪는 근로자들을 지원하기 위해 ‘체불청산 지원융자’의 금리를 한시적으로 인하한다. 오는 10월 14일까지 적용되는 이 조치에 따라 사업주의 융자 금리는 기존 신용 3.7%에서 2.7%, 담보 2.2%에서 1.2%로 각각 1%p씩 인하된다. 근로자 대상 융자 금리 역시 1.5%에서 1.0%로 낮아져, 체불 임금 청산 및 생계 유지에 대한 부담을 덜어줄 전망이다.
핵심적인 생활비 부담 완화를 위한 정책도 추진된다. 식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양곡 구매 시 20% 추가 할인을 제공하며, 갑작스러운 의료비 지출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을 덜어주기 위해 재난 의료비 지원을 600억 원으로 확대한다. 더불어 에너지바우처 지원 대상도 확대하여 취약계층의 난방비 등 에너지 비용 부담을 경감시킨다.
이와 더불어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의 명절 자금 지원도 역대 최대 규모로 이루어진다. 총 43.2조 원에 달하는 명절 자금(대출·보증)이 공급되며, 전통시장 상인들에게는 성수품 구매 대금을 위한 저리 대출이 지원된다. 또한 보험료, 세정, 공공계약, 하도급 관련 애로사항을 신속하게 해소함으로써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이 보다 안정적인 환경에서 명절을 맞이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이번 발표된 정책들은 고금리, 고물가 상황 속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서민과 소상공인들의 실질적인 경제적 부담을 경감시키고, 따뜻하고 풍성한 추석을 보낼 수 있도록 돕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금융 지원 확대와 생활비 부담 완화, 그리고 명절 자금 지원까지 이어지는 다각적인 대책이 성공적으로 시행될 경우,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도 희망찬 추석을 보낼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