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적인 기후 위기 심각성이 대두되며 원전이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필수적인 수단으로 재조명되고 있다. 2020년 미국의 시사 주간지 타임이 ‘마지막 기회’라는 제명으로 기후 위기에 대한 인류의 총력 대응을 촉구한 데 이어, 2022년 유럽연합 집행위원회는 원전을 기후위기 대응 수단으로 친환경 에너지에 포함하는 택소노미 개정을 결정했다. 같은 해 뉴욕타임즈는 ‘원전 르네상스’ 도래를 알리는 기사를 보도하며 세계적인 에너지 전환 흐름을 보여주었다. 특히, 2020년 유럽 그린딜에서 원전을 제외했던 유럽연합이 2년 만에 이를 포함한 것은 원전 없이는 탄소중립 달성이 어렵다는 점을 인정한 결정적인 장면으로 평가된다.
이러한 세계적 흐름 속에서 유럽은 최대 원전 시장으로 부상하고 있다. 풍부한 풍력 자원을 기반으로 재생에너지 확대를 추진하는 영국은 일찍이 원전을 탄소중립의 중요한 수단으로 삼고 원전 산업 기반 확보에 나섰다. 수력과 풍력 자원이 풍부함에도 불구하고 스웨덴은 탈원전을 접고 2050년까지 10기의 원전을 추가하겠다고 발표했으며, 35%의 전력을 원전으로 공급하는 스위스 또한 2017년 원전 확대 금지 정책을 뒤집고 신규 원전 건설을 국민투표에 부칠 계획이다. 심지어 탈원전의 선두 국가였던 이탈리아마저 소형모듈원자로(SMR) 도입을 검토하는 등, 원전에 대한 전 세계적인 인식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처럼 활발하게 추진되는 유럽의 원전 시장에서 우리나라는 체코 신규 원전 사업 수주를 통해 세계 원전 르네상스를 이끄는 견인자로 떠올랐다. 이는 15년 전 UAE에서의 수주 성공에 이은 두 번째 쾌거로, 국가 역량을 결집한 경쟁입찰에서의 승리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이러한 해외에서의 성공적인 경쟁력은 지난 10월 30일 준공식을 가진 신한울 1,2호기와 착공에 들어간 신한울 3,4호기의 존재 덕분이다. 신한울 1,2호기는 원자로 펌프, 제어시스템 등 그간 해외 기술에 의존했던 핵심 설비를 모두 국산 기술로 대체한 우리나라 원전 산업 기술의 결정체다. 더불어 신한울 3,4호기는 탈원전 정책으로 침체되었던 국내 원전 산업 생태계에 희망을 불어넣는 사업으로, 2022년 세계적인 에너지 전환 흐름을 읽은 정부의 발 빠른 정책 전환이 물꼬를 튼 결과물이다.
우리나라 원전 산업의 경쟁력은 1972년 고리 1호기 도입 이후 지속적인 기술 개발과 2년에 1기꼴로 원전을 건설하며 유지해 온 산업 생태계에 기반한다. 2000년대에도 국내 12기, 해외 4기의 원전을 건설하며 미국, 프랑스와 비견될 만한 공급망, 설계, 제작, 건설 기술을 확보했다. 만약 탈원전 정책이 장기화되었다면 이러한 산업 기반이 위태로울 뻔했으나, 신한울 1,2호기의 준공과 신한울 3,4호기의 착공은 우리나라 원전 산업 역사에 길이 남을 중요한 순간이 되었다.
이제 우리 원전 산업은 네덜란드 시장에 도전할 준비를 하고 있다. 네덜란드는 이미 우리나라를 비롯한 프랑스, 미국에 원전 사업 참여를 요청하고 있다. 원전 르네상스는 분명한 기회이지만, 동시에 우리 내부의 위기 요인도 간과해서는 안 된다. 현재 세계 원전 시장은 한국, 미국, 프랑스의 치열한 경쟁 구도에 놓여 있으며, 이번 체코 수주 성공이 다음에도 보장되는 것은 아니다. 국민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더욱 기술을 연마하고 ‘팀 코리아’의 결속을 다져야 한다. 국가 역량을 결집해야 할 시점에 체코 원전 사업을 힐난하는 것은 외부에 쏟아야 할 노력을 국내 대응에 소모하게 만드는 행위다. K-원전은 우리 청년 세대에게 또 다른 자부심이 될 수 있으며, 우리의 청년들이 유럽의 청년들에게 유럽의 탄소중립을 이끄는 K-원전을 이야기하는 미래를 만들 기회가 지금 우리 앞에 있다. K-원전이 세계 원전 르네상스를 이끌도록 지지해야 하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