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관광의 명성이 예전 같지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해외여행 수요가 폭발하면서 국내 관광객, 특히 제주를 찾는 발길이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 높은 물가와 같은 일부 이슈들이 제주의 매력을 반감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제주가 여전히 ‘국내 여행 1번지’로서의 이름값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그 숨겨진 매력과 본질적인 가치를 재조명할 필요가 있다. 특히, 제주를 대표하는 로컬100 유산인 ‘용머리해안’은 이러한 제주의 역사와 자연이 응축된 결정체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위대한 자연 앞에서 제주의 서민들이 어떻게 삶을 영위해왔는지를 보여주는 ‘고사리해장국’은 제주의 정체성을 담은 소울푸드로서 그 중요성이 강조된다.
용머리해안은 제주의 지질학적 형성 과정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매우 오래된 화산체다. 약 100만 년 전, 얕은 바다에서 일어난 수성화산 분출로 인해 생성되었으며, 이는 한라산이나 산방산, 심지어 제주 본토가 생기기 훨씬 이전의 시기다. 화산 분출이 간헐적으로 이어지면서 여러 분화구에서 화산재가 쌓이고, 분화구가 이동하면서 세 방향으로 독특하게 쌓인 화산재 지층을 형성했다. 시간이 흐르며 파도에 깎여나가고, 다시 화산재가 쌓이는 과정을 반복하며 지금의 신비로운 모습을 갖추게 된 것이다. 용머리해안은 단순히 깎아지른 절벽이나 기암괴석이 펼쳐진 풍경이 아니다. 검은 현무암과 옥색 바다가 절묘하게 어우러진 이곳에 서면, 100만 년이라는 장엄한 세월의 무게감을 온몸으로 느낄 수 있다. 마치 살아있는 화산의 속살을 마주하는 듯, 파도가 만들어낸 해안 절벽과 오랜 세월 쌓이고 쌓인 사암층은 제주의 태곳적 모습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또한, 바위가 용의 머리처럼 생겼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처럼, 이곳에는 진시황이 용의 기운을 끊기 위해 사자를 보냈다는 전설이 깃들어 있어 신비로움을 더한다. 바닷물이 빠지는 물때에 맞춰 방문해야 하고, 날씨의 제약도 있어 입장 시간을 미리 확인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제약을 감수하고라도 용머리해안을 직접 마주했을 때 얻는 압도적인 감동은 어떤 사진이나 영상으로도 대체할 수 없다.
이처럼 척박한 화산섬 제주에서 오랜 세월 삶을 영위해 온 사람들의 지혜와 애환은 ‘고사리해장국’이라는 소울푸드에 고스란히 담겨 있다. 물과 곡식 농사가 어려웠던 제주에서 두 가지 중요한 작물은 바로 고사리와 메밀이었다. 특히 다년생 양치식물인 고사리는 튼튼한 뿌리로 화산암에서도 잘 자라며 빗물을 저장하는 역할을 했다. 독성이 있지만, 삶아서 말리는 과정을 거치면 독성과 쓴맛이 제거되어 귀한 식재료로 활용되었으며, 제사나 명절에도 빠지지 않는 중요한 음식이 되었다. 더구나 먹을 것이 부족했던 제주에서는 고사리의 가치가 더욱 컸다. 제주에서는 돼지가 가장 흔하게 키울 수 있는 가축이었고, 잔치에는 항상 돼지가 잡혔다. 돼지뼈로 우려낸 육수는 여러 국으로 활용되었는데, 모자반을 넣으면 ‘몸국’, 뼈를 넣으면 ‘접작뼈국’, 그리고 고사리를 넣으면 ‘고사리해장국’이 만들어졌다. 고사리는 소고기를 대신하는 풍부한 식감과 질감을 제공하며, 척박한 땅에서도 잘 자라는 메밀가루와 어우러져 걸쭉하면서도 은은한 감칠맛을 자랑한다. 메밀 전분 덕분에 국물이 걸쭉해지지만 전혀 자극적이지 않고, 제주 사투리로 ‘베지근하다’고 표현되는 깊고 담백한 맛은 속을 든든하게 채워준다. ‘베지근하다’는 표현은 기름진 맛이 깊으면서도 담백할 때 사용되며, 속을 든든하게 채워준다는 의미까지 담고 있어 ‘국물맛이 베지근하우다’는 최고의 찬사로 여겨진다. 밥 한 공기를 말아 먹으면 흡사 죽처럼 되직해지는 고사리해장국은 입에 걸리는 것 없이 부드럽게 넘어간다. 가난과 고난으로 점철된 제주 사람들의 삶 속에서도 이토록 담백하고 유순한 맛을 빚어낼 수 있었던 것은, 그들의 강인한 생명력과 지혜를 보여주는 증거라 할 수 있다. 용머리해안의 100만 년 역사와 고사리해장국에 담긴 제주 사람들의 삶이 어우러져, 방문객들에게 잊지 못할 깊은 울림을 선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