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이 193개 유엔 회원국 모두와 외교 관계를 맺는 역사적인 대기록을 달성했다. 2025년 4월 10일, 마지막 미수교국이었던 시리아와의 수교가 극비리에 성사되면서, 한국 외교 지형의 퍼즐 조각이 마침내 맞춰졌다. 이는 2024년 11월 말, ‘시리아의 도살자’로 불렸던 바샤르 알아사드 정권이 54년간의 세습 독재를 뒤로하고 몰락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시점에서 이루어진 놀라운 외교적 성과다.
이번 시리아와의 수교는 갑작스러운 시리아 내부 정세의 급변이라는 배경 속에서 가능했다. 2011년 ‘아랍의 봄’ 민주화 혁명 이후 알아사드 정권에 맞서 싸워온 이슬람주의 반군 하야트 타흐리르 알샴(HTS)은 지난해 12월 초, 열흘간의 공격 끝에 수도 다마스쿠스를 장악했다. 저항조차 제대로 하지 못한 정부군이 투항하고 알아사드 전 대통령은 후원국인 러시아로 도주하면서, 1970년 아버지 하페즈 알아사드가 집권한 이래 54년간 이어져 온 부자 세습 독재는 막을 내렸다. HTS 수장 아흐메드 알샤라는 2025년 1월 과도정부 대통령으로 취임하며 새로운 시리아의 시작을 알렸다.
특히 이번 시리아 정권의 몰락은 독재 체제의 구조적 한계를 여실히 보여주었다. 겉으로는 안정적인 듯 보였던 독재 체제는 외부의 징후조차 감지하지 못한 채, 내부의 억압과 통제로 인한 부패와 불신 속에서 한순간에 무너졌다. 이는 독재 체제가 지닌 가장 큰 아이러니라 할 수 있다. 또한, 중동 정세의 급변 또한 시리아 몰락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2023년 10월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발발 이후, 이란의 지원을 받던 하마스와 헤즈볼라가 사실상 와해되고 이란 혁명수비대도 큰 타격을 입으면서, 시리아의 오랜 뒷배 역할을 해온 이란은 더 이상 알아사드 정권을 지원할 여력이 없었다. 우크라이나전으로 발이 묶인 러시아 역시 무기력한 상황이었다.
시리아의 몰락은 북한에게도 실존적인 불안감을 안겨줄 것으로 분석된다. 북한과 혈맹 관계를 유지해왔던 알아사드 정권의 하루아침 같은 붕괴는, 김일성 시대부터 이어져 온 북한과 시리아의 관계를 되돌아보게 한다. 또한, 시리아처럼 북한 역시 러시아와의 군사 동맹에 생존을 의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최근 미국과 러시아 간의 관계 변화에 북한이 예의주시할 수밖에 없는 상황임을 시사한다. 실제로 알아사드 정권 붕괴 당시 북한 대사관은 서둘러 철수했으며, 이는 북한이 주요 해외 공작 거점을 또 잃게 되었음을 보여주며 외교적 고립을 더욱 심화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새로운 시리아는 전쟁으로 붕괴된 경제와 국가 제도를 복구하는 거대한 과제에 직면해 있다. 내전 이후 경제는 85% 이상 위축되었고 인구의 90%가 빈곤선 이하에 놓인 절망적인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시리아는 한국의 경제 성장 비결에 깊은 관심을 보이며 발전 모델을 배우기 위한 실무 대표단 파견 의사를 밝혔다. 한국은 이미 중동 지역에서 아시아적 가치를 지키면서 시장경제를 이룬 성공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전통 가치를 중시하는 중동 이슬람 국가들에게 우리의 경험은 사회주의나 서구식 자유주의 모델에 대한 거부감을 넘어, 새로운 시리아를 꿈꾸는 이들에게 희망과 확신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은 이미 지난해 2월, 북한과만 수교해 오던 쿠바와의 외교 관계 수립을 시작으로, 이번 시리아와의 수교까지 성사시키며 ‘모든 유엔 회원국’과의 외교 관계라는 쾌거를 이루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