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시대는 ChatGPT와 같은 혁신적인 알고리즘을 통해 인류의 역량을 확장하며 산업과 사회 전반에 근본적인 변화를 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AI의 지속적인 발전과 확산을 뒷받침하는 핵심 동력은 바로 고성능 반도체이다. 인간의 뇌가 고도의 연산을 수행하듯, AI 또한 특화된 반도체 없이는 혁신적인 발전에 한계를 드러낼 수밖에 없다. 현재 널리 사용되는 GPU는 본래 그래픽 처리를 위해 설계되어 AI 알고리즘의 독특한 연산 패턴을 최적화하는 데 제약이 있으며, 전력 효율성과 처리 속도 면에서도 한계를 보인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등장한 뉴럴 프로세싱 유닛(NPU)과 같은 AI 특화 반도체는 전력 소모를 줄이고 연산 효율성을 높여 AI 응용 프로그램의 확장성을 극대화하는 혁신을 제시한다. 데이터 센터를 넘어 온-디바이스 AI까지, AI-X 시대에서 반도체 기술은 데이터와 알고리즘을 넘어 AI 구현의 중심 축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이는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한 AI 반도체 분야의 적극적인 투자의 필요성을 더욱 명확히 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AI 기술의 빠른 발전은 기업 간의 치열한 패권 경쟁을 촉발하고 있다. 미국의 엔비디아는 AI 연산에 최적화된 GPU인 H100으로 시장을 선도하며 독보적인 위치를 구축했다. H100은 AI 모델의 대규모 데이터 처리에 탁월한 성능을 발휘하며 폭발적인 수요를 견인하고 있으며, 차세대 블랙웰 GPU는 AI 연산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엔비디아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공급하는 고대역폭 메모리(HBM)를 통해 GPU 성능을 강화하며 AI 메모리 시장에서도 주도권을 공고히 하고 있다.
그러나 엔비디아의 독점에 맞서려는 움직임 또한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인텔은 ‘가우디2’ AI 가속기를 출시하며 AI 연산 특화 반도체 시장에서 점유율 확대를 꾀하고 있으며, 오픈AI는 TSMC 및 브로드컴과 협력하여 AI 연구에 최적화된 맞춤형 반도체 개발에 나섰다. 이러한 전략적 제휴는 반도체 자립성을 강화하고 시장 내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의도를 반영한다. 특히, AI 기술 발전과 함께 다양한 연산 요구가 발생하면서 맞춤형 AI 칩 개발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한국의 리벨리온, 퓨리오사, 하이퍼 엑셀과 같은 스타트업들은 독자적인 칩 개발을 통해 한국만의 AI 반도체 생태계를 구축하려는 전략을 가속화하고 있다. AI 반도체 패권을 향한 경쟁은 더욱 심화될 것이며, AI 연산 특화 칩은 글로벌 AI 기술 주권을 확보하기 위한 핵심 무기가 될 전망이다.
AI 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실시간으로 대규모 데이터를 처리하고 높은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AI 반도체의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이에 한국은 PIM(Processing in Memory)과 NPU(Neural Processing Unit) 기술을 중심으로 AI 반도체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전 세계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 60%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한국은 이러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메모리 내에서 AI 연산을 수행하는 PIM 기술을 선도하고 있다. 또한, 리벨리온, 퓨리오사, 모빌린트와 같은 국내 스타트업들은 NPU 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특히 리벨리온은 ISSCC 2024에서 엔비디아의 성능을 능가하는 NPU 관련 연구 성과를 발표하며 주목받았다. 이러한 기술적 성과를 바탕으로 한국은 PIM과 NPU 분야에서 AI 반도체 개발 역량을 강화하며 전 세계 AI 반도체 시장에서의 주도권 확보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반도체 산업의 경쟁력은 기술력과 인력에 달려있으며, 최근 기술의 급격한 고도화와 글로벌 경쟁 심화로 인해 인재 부족 문제는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이에 KAIST는 2023년, 반도체 설계에 중점을 둔 교육 과정을 운영하는 인공지능반도체대학원을 설립하여 한국 반도체 산업을 이끌어갈 전문 인력 양성에 힘쓰고 있다. 이 대학원은 AI 반도체 특화 커리큘럼을 통해 이론과 실습을 겸비한 교육을 제공하며, AI 알고리즘, AI 반도체, AI 응용 등 세 가지 기술을 종합적으로 다룰 수 있는 실무 역량과 연구 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 또한, 최고 전문가들을 교원으로 확보하여 학생들이 첨단 지식과 실무 경험을 쌓고 AI-X 분야의 선도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더불어 국내외 유수 대학 및 연구기관과의 공동 연구, 산학 협력 프로젝트, 해외 인턴십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의 글로벌 인재로서의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AI 반도체는 차세대 기술 경쟁의 핵심이며, 대한민국이 과학기술 주권을 확보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AI 반도체는 고도화된 데이터 분석과 실시간 처리 속도가 요구되는 AI 모델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필수 인프라이자 전략적 자산이다. 전 세계적인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한국은 AI 반도체 분야에서 기술적 자립을 강화하고 경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다각적인 정책적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첫째, 경쟁국과의 차별화를 위한 기술 선점을 위해 정부, 산업계, 학계 간의 협력을 강화하고 R&D 자금 지원 및 정책적 인센티브를 통해 기업과 연구기관의 협력 연구를 독려해야 한다. 특히 메모리 강국의 이점을 활용한 저전력 PIM 기반 온-디바이스 AI와 뉴로모픽 칩을 통한 초격차 선도 전략이 필요하며, 기술 이전 및 상용화를 촉진하는 법적·제도적 장치 마련이 시급하다.
둘째, 혁신 인재 발굴 및 육성을 위한 관련 인프라 및 교육 프로그램 강화가 필수적이다. 인공지능반도체대학원과 같은 특화된 교육 기관을 확대하여 AI 반도체 분야의 고급 인재를 지속적으로 배출하고, 산업계와의 협력을 통해 실무 기반 교육 커리큘럼을 설계하며 산학 협력 프로그램을 통한 실습 및 인턴십 기회 제공을 통해 이론과 실무의 균형 잡힌 습득을 지원해야 한다. 이를 통해 학계와 산업계 간의 간극을 줄이고 현장 적응력을 갖춘 고급 엔지니어를 양성해야 한다. 셋째, 엔지니어의 처우 개선 및 글로벌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국내 유수 인재의 해외 유출을 방지하고 해외 우수 인재 유치를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 경쟁력 있는 보상 체계 마련, 안정적인 근무 환경 조성, 비자 발급 완화 및 연구비 지원 등 유입 정책을 통해 글로벌 인재들이 한국 AI 반도체 산업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해외 우수 연구자들과의 인적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세계 기술 동향에 선도적으로 대응하고 국제 시장을 능동적으로 개척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국제 표준화 및 AI-X와 같은 응용 기술 개발에 힘써 세계 시장을 선도해야 한다. 고도화된 기술 경쟁 분야인 AI 반도체에서 국제적 기술 표준화를 주도함으로써 시장 내 입지를 강화하고 해외 시장 진출의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AI 알고리즘, AI 반도체, AI 응용 기술을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전 산업과 사회 전 분야에 AI 도입 및 활용을 가속화하는 AI-X를 국내 주요 기업 및 연구 기관과의 기술 협력을 통해 선도적으로 실현함으로써 세계 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 이러한 정책적 노력을 통해 대한민국은 AI 반도체 분야에서 독자적인 기술력을 확보하고 글로벌 경쟁에서 유리한 입지를 차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궁극적으로 AI 반도체 산업의 선도는 대한민국이 세계 G3로 미래 기술 패권을 쥐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