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이 인공지능(AI)을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드는 핵심 도구로 활용하기 위한 글로벌 협력 주도 의사를 밝혔다. 이는 AI 기술 발전이 가져올 잠재적 위험에 대한 우려 속에서, 책임감 있는 AI 활용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시급한 과제를 안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재명 대통령은 9월 24일(현지시간) 유엔 안보리 공개토의를 주재하며 이러한 비전을 제시했다. 이번 공개토의는 AI가 인류 공동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드는 데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책임감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지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의 장을 마련했다.
대한민국은 AI가 단순히 기술 발전을 넘어, 기후변화 대응, 빈곤 퇴치, 질병 예방 등 인류가 직면한 복합적인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다고 전망한다. 특히, AI의 잠재력을 극대화하면서도 윤리적, 사회적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글로벌 책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한국은 AI 기술이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드는 데 기여하도록 협력을 주도하는 ‘글로벌 책임강국’으로서의 역할을 자임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는 AI 기술의 혜택이 특정 국가나 집단에 국한되지 않고, 전 인류의 보편적 이익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국제사회가 함께 노력해야 한다는 인식에서 비롯된다.
이번 유엔 안보리 공개토의에서의 발표는 AI 시대를 맞아 한국이 기술 강국을 넘어 책임 있는 리더십을 발휘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한 것으로 평가된다. 앞으로 한국이 주도할 AI 관련 국제 협력이 지속가능한 미래를 향한 실질적인 해법을 제시하고, AI가 인류에게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는 ‘도구’로 자리매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