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강국으로의 도약을 목표로 추진해 온 정책 추진 동력이 약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정부, 민간, 지방자치단체 등 각 주체별로 분산된 AI 관련 자원과 역량을 효과적으로 결집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꾸준히 있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인공지능 3대 강국 도약’이라는 국가적 목표를 성공적으로 이행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이에 따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흩어져 있던 정부, 민간, 지방자치단체의 자원과 역량을 하나로 모아 국가 인공지능 혁신을 주도하기 위한 조직 개편에 착수한다. 이번 조직 개편의 핵심은 ‘과학기술·인공지능 총괄 부총리’ 체제를 본격적으로 출범시키는 것이다. 이는 AI 분야의 정책 추진력을 강화하고, 관련 부처 및 기관 간의 유기적인 협력을 증진하여 시너지를 창출하기 위한 전략이다. 이미 정부조직법 개정안이 2025년 9월 30일 국무회의를 통과함에 따라, 과학기술·AI 총괄 부총리 체제는 구체적인 실행 단계에 돌입하게 된다.
새롭게 출범하는 과학기술·AI 총괄 부총리 체제는 ‘인공지능 3대 강국 도약’이라는 국가적 비전을 현실화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분산된 정책과 사업들을 총괄하고 조정함으로써 정책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정부의 강력한 리더십 아래 민간의 혁신 역량과 지방자치단체의 현장 경험이 결합될 경우, AI 기술 개발 및 산업 생태계 전반에 걸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노력들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다면, 한국은 명실상부한 인공지능 3대 강국으로 도약하는 발판을 마련하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