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이 인공지능(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야심 찬 목표를 추진하는 가운데, AI 생태계의 지역적 불균형 문제와 성장 잠재력이 큰 국내 스타트업 생태계의 지원이라는 근본적인 과제가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글로벌 AI 선도 기업인 OpenAI와 손을 잡고 국가 AI 대전환 가속화 및 국내 AI 생태계 경쟁력 강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협력에 나섰다.
과기정통부와 OpenAI가 체결한 이번 양해각서(MOU)의 핵심 협력 내용은 다층적인 AI 생태계 강화 방안을 담고 있다. 먼저, AI 기술 발전이 수도권에 집중되는 현상을 완화하고 전국적인 AI 활용 및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한국 AI 생태계의 지역 균형 발전에 협력한다. 더불어, AI 기술 도입이 상대적으로 더딘 공공부문의 AI 전환을 적극적으로 활성화하기 위한 지원도 이뤄질 예정이다. 이는 AI 기술의 혜택을 사회 전반으로 확산시키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뿐만 아니라, 미래 AI 경쟁력의 핵심 동력인 인재 양성에도 방점이 찍혔다. AI 인재를 체계적으로 육성하기 위한 공동 프로젝트를 지원함으로써, 급변하는 AI 기술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을 확보하는 데 주력한다. 이와 함께,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가진 국내 스타트업 생태계의 성장을 지원하는 프로그램도 추진된다. 이는 잠재력 있는 국내 AI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마중물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MOU는 OpenAI의 글로벌 AI 데이터센터 구축 및 AI 확산 전략과 연계하여 한국 기업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내용도 포함한다. 이를 통해 국내 기업들은 최첨단 AI 기술 및 인프라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글로벌 AI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할 기회를 얻게 된다. 배경훈 부총리 겸 과기정통부 장관은 “글로벌 AI 선도기업과 협력하여 국가 AI 대전환을 가속화하고, 국내 AI 생태계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히며 이번 협력에 대한 강한 의지를 피력했다.
이러한 다각적인 협력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다면, AI 기술 발전의 지역적 격차 해소와 공공부문 AI 도입 활성화는 물론, AI 전문 인력 양성과 스타트업 생태계의 질적 성장을 견인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궁극적으로 이는 대한민국이 AI 3대 강국이자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AI 허브 국가로 도약하는 데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