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정부의 데이터 관리 방식과 보고 체계가 인공지능(AI) 시대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며 심각한 지능 격차를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AI는 방대한 데이터를 학습하여 잠재된 패턴을 찾아내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지만, 현재 공직 사회의 데이터 파편화와 비효율적인 보고 방식은 AI의 잠재력을 제대로 발휘시키지 못하게 하는 근본적인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현재 공직 사회에서는 데이터가 D 드라이브와 같이 휘발성 강한 저장 공간에 분산되어 관리되고 있다. 이로 인해 “그 자료 어디 있어?”라는 질문에 담당자가 부재중일 경우, 자료를 찾고 전달하는 과정 자체가 복잡하고 시간을 소모하는 일로 전락한다. 더욱 심각한 것은, 데이터와 함께 축적되어야 할 맥락, 암묵지, 업무 과정 등이 포맷과 함께 사라질 위험에 처해 있다는 점이다. 이는 결국 미래 공직 사회가 활용해야 할 AI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
보고 방식 또한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높은 직위에 보고할수록 보고서가 짧아져야 한다는 인식 아래 1페이지 요약이 선호되며, 자간·장평 조절에 능숙하거나 ‘음슴체’와 같은 개조식 문장 사용을 자랑하는 문화가 만연하다. 이는 정보 전달의 명확성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사고의 깊이를 얕게 만들고 불충분한 논리를 숨기기 쉽게 만든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실리콘밸리의 선도적인 AI 개발 기업들이 채택하는 방식과는 현저히 다르다. 아마존의 ‘6 페이저’는 완전한 서술체로 작성되며, 회의 참여자들이 30분간 이를 숙독한 후 토론을 시작하는 문화를 통해 깊이 있는 사고와 명확한 정보 공유를 지향한다.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창업자는 파워포인트의 불릿 포인트가 엉성한 사고를 숨기기 쉽다는 점을 지적하며, 완전한 문장으로 이루어진 서술 구조가 더 나은 사고와 중요한 것에 대한 이해를 강제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클라우드 기반 시스템과 공개된 게시판 문화가 제시된다. 클라우드를 활용하고 모든 게시판을 기본적으로 공개함으로써, 조직 구성원들은 문서뿐만 아니라 ‘맥락’을 공유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모든 논의 과정과 자료가 축적되어 AI가 학습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며, 결과적으로 AI의 지능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1페이지 요약이 아닌, 총소유비용(TCO) 관점에서 보고서 작성 및 검토에 소요되는 시간과 전체 업무 효율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된다. 중요한 보고일수록 ‘음슴체’와 같은 간결한 표현 대신, 사고의 명확성을 강제하고 AI 학습에 유리한 서술체로 작성해야 한다. 이는 대한민국 공무원이 훨씬 더 뛰어난 AI를 활용할 자격을 갖추게 하는 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