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표준화기구(ISO) 총회에서 우리나라가 기술이사회(TMB)에 연임하는 데 성공하며 국제 사회에서 한국의 표준화 역량이 다시 한번 인정받았다. 이는 2028년까지 한국이 ISO의 기술 정책 결정 과정에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그 배경에는 한국의 높아진 국제 표준화 위상과 능동적인 활동이 자리하고 있다.
기술이사회(TMB)는 ISO 내에서 신규 표준위원회 설립 및 해산, 기존 표준위원회 간의 업무 조정, 의장국 임명 등 ISO의 전반적인 표준 활동을 실질적으로 조율하는 핵심적인 의사결정 기구다. 이러한 중요한 기구에 한국이 연임하게 된 것은 국제 사회가 한국의 기술 표준화 기여도를 높이 평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더불어 이번 총회에서 한국은 ‘GPS 기반 개인 위치 서비스 기술’ 분야의 표준위원회 설립을 적극적으로 제안했으며, 이를 위한 워크숍을 주관하며 ISO 회원국들의 지지를 이끌어냈다. 이는 단순히 연임에 머무르지 않고, 한국이 미래 기술 분야의 국제 표준을 선도하려는 의지를 분명히 보여준 행보다.
또한, 한국은 캐나다, 이탈리아 등 주요국의 표준화 기관들과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하는 등 국제 협력을 강화했다. 오는 12월 개최될 ‘국제 AI 표준 서밋’에는 주요 인사들의 참여를 요청하며 국제 표준화 논의의 장을 넓히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김대자 국표원장은 “이번 ISO 기술이사국 연임을 계기로 국제 표준화 무대에서 우리나라의 영향력을 더욱 확고히 할 수 있게 되었다”고 강조하며, “앞으로도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리더십을 가지고 국제 사회가 신뢰하는 표준 강국으로서 위상을 공고히 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이러한 활동들은 한국이 국제 표준화 무대에서 더욱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기술 강국으로서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는 평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