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당연하게 소비하는 농산물이지만, 그 뒤에 숨겨진 어려움과 해결 방안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는 부족하다. ‘2025 대한민국 농업박람회’는 이러한 간극을 메우고, 우리 농업이 직면한 다양한 문제와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을 한눈에 조망할 기회를 제공한다. 박람회는 단순히 농산물을 전시하는 것을 넘어, 국민들의 삶과 농업의 미래를 연결하며 그 가치를 재확인하는 장이 되었다.
이번 박람회의 핵심은 농업이 직면한 현재의 ‘문제점’들을 명확히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각적인 ‘솔루션’을 제시했다는 점이다. ‘농업과 삶’ 주제관에서는 국민 생활과 밀접한 농업의 가치를 조명하며, 올해의 농산물인 감자의 다양한 품종과 이를 활용한 가공품, 그리고 올바른 보관법까지 소개했다. 또한, 농업인의 소득 안정과 지속 가능한 영농 활동을 지원하는 공익 직불제와 소비자들이 안심하고 농축산물을 구매할 수 있도록 꿀 등급제, 단일 품종 쌀 정보 제공 등 구체적인 제도를 설명하며 정보 불균형이라는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을 보여주었다.
‘농업의 혁신’관은 첨단 기술이 농업 현장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상처 난 과일을 순식간에 선별하는 인공지능 로봇과 셰프의 손맛을 재현하는 조리 로봇은 미래 농업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특히, 품종 개발을 위한 과실 특성 조사 프로그램에 참여하며 과일의 당도를 과학적으로 측정하는 과정은, 소비자들이 원하는 품질의 농산물을 얻기 위한 기술적 지원의 중요성을 실감하게 했다. 이는 농산물의 품질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소비자의 신뢰를 얻는 데 기여할 것이다.
‘색깔 있는 농업’관은 K-푸드를 중심으로 도시 농업, 화훼 등 농업의 다양한 잠재력을 보여주며, 농업이 단순한 생산을 넘어 문화와 산업으로 확장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활기찬 농촌’관은 농촌 소멸 위기라는 심각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했다. 귀농·귀촌을 희망하는 이들에게 지자체의 적극적인 홍보와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농촌 빈집은행’ 정책은 7만 8천 95곳에 달하는 농어촌 빈집을 활용하여 귀농·귀촌 희망자와 연결하고 기관이 관리와 운영을 돕는 혁신적인 방안이다. 이를 통해 농촌은 더 이상 떠나는 곳이 아닌, 새로운 기회를 찾아 ‘돌아오는 곳’으로 변화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정책적 노력들이 성공적으로 적용된다면, 소비자는 더욱 신뢰할 수 있는 농축산물을 선택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농업인은 안정적인 소득 기반을 마련하고 지속 가능한 영농 활동을 이어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농촌 지역은 새로운 활력을 되찾아 인구 감소와 지역 소멸 위기를 극복하고 ‘돌아오는 농촌’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025 대한민국 농업박람회’는 농업이 직면한 문제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과 함께,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과 긍정적인 미래 전망을 제시하며 우리 농업의 희망찬 발걸음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