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 출범과 함께 대통령실에 ‘경청통합수석’이라는 새로운 직책이 신설되었다. 이는 역사상 처음으로 ‘경청’이라는 명칭을 전면에 내세운 자리로서, 단순한 명칭 변화를 넘어 대통령의 소통 방식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의식을 드러낸다. 기존 정부들에서는 대통령의 입 역할을 하는 홍보수석, 혹은 국민과의 소통 강화를 위한 국민소통수석 등이 존재했으나, 대통령의 ‘귀’ 역할을 공식적으로 수행하며 국민의 목소리를 듣는 데 집중하는 자리는 없었다. 이는 현 정부가 과거 정부들의 소통 방식에서 발생했던 문제점, 즉 일방적인 말하기에 치우쳐 정작 국민의 목소리를 제대로 듣지 못했던 한계를 인식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대통령의 소통은 국민에게 자신의 정책과 비전을 ‘말하는’ 행위뿐만 아니라, 국민의 의견과 요구를 ‘듣는’ 행위라는 쌍방향적 과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역대 정부의 대통령실 조직에서 ‘듣는’ 역할은 명확하게 규정되지 못하거나, 민정수석실이 담당하는 경우에도 국정원, 검찰, 경찰 등 권력기관 통제에 치중하여 본연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있었다. 대통령이 하고 싶은 말만 일방적으로 전달하고 기자들의 질문에는 귀 기울이지 않았던 출근길 도어스테핑의 실망감은 이러한 소통 방식의 실패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성인(聖人)의 글자가 귀, 입, 왕을 합쳐 이룬 것처럼, 진정으로 지혜로운 지도자는 단순히 말하기에 능한 사람이 아니라 대중의 목소리를 경청하는 사람이라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경청통합수석’의 신설은 대통령이 ‘말하기’보다는 ‘듣기’, 즉 ‘경청(敬聽)’을 소통의 핵심으로 삼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하지만 대통령의 경청이 진정한 정책 변화와 국민 통합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두 가지 중요한 과제를 안고 있다. 첫째, 대통령은 기꺼이 반대자의 목소리까지 경청해야 한다. 자신에게 유리한 목소리만 듣는 것은 진정한 경청이 아니며, 이는 정치의 복원과 국민 통합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지난 6월 26일 국회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야당 의원들과 스스럼없이 소통하는 모습은 이러한 기대를 갖게 하는 긍정적인 신호였다. 앞으로 국정 운영 과정에서 이러한 열린 소통의 장면이 더욱 자주 연출되기를 기대한다.
둘째, 대통령의 경청은 단순한 ‘상징적 반응성’을 넘어 ‘실질적 반응성’으로 이어져야 한다. 즉, 국민의 목소리를 듣는 것에 그치지 않고, 이를 실제 정책 변화로 연결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지난 6월 25일 호남 지역 타운홀 미팅에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유가족의 진상 규명 요구에 대해 대통령은 ‘지금 당장 내가 나선다고 해서 특별히 될 것 같지 않다’며 수사 조사 기관의 진행을 기다려달라는 취지로 답했다. 물론 모든 민원을 정책에 즉각 반영하기는 어렵지만, 국민주권정부로서의 책무를 다하기 위해서는 국민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이를 정책에 반영하려는 진정성 있는 노력을 보여야 한다. 대통령의 경청이 실질적인 정책 변화로 이어질 때, 국민은 정권 교체의 효능감을 체감하고 이는 곧 국민적 지지로 이어져 이재명 정부의 개혁 성공을 뒷받침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