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경제 전반의 소비 심리 위축이 가시화되는 가운데, 소상공인들의 어려움은 더욱 가중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침체된 내수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고 소상공인들의 매출 증진을 도모하기 위한 전국 단위의 소비 촉진 행사, ‘동행축제’가 지난 9월 한 달간 6634억 원이라는 실질적인 매출 성과를 기록하며 돌파구를 모색했다. 이는 단순한 수치를 넘어, 정부의 정책적 개입이 경제 활력 제고에 미칠 수 있는 잠재력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 준 결과로 평가된다.
이번 ‘9월 동행축제’는 온라인 판매전과 오프라인 판매전, 그리고 온누리상품권과 지역사랑상품권 판매 호조라는 다각적인 접근을 통해 내수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온라인 판매전에서는 총 6307억 원의 매출이 발생했으며, 오프라인 판매전에서도 327억 원의 직접 매출이 집계되었다. 더불어, 온누리상품권 4856억 원과 지역사랑상품권 2412억 원의 판매는 소비자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지역 경제를 지원하는 동시에 자신에게 혜택을 돌릴 수 있는 중요한 수단으로 작용했다.
행사는 민생 회복을 위한 소비 쿠폰 지급과 더불어, 전국적인 연계 행사 및 다채로운 이벤트들을 통해 소비 분위기 확산에 집중했다. 특히 온라인 판매전은 2만 7000여 개 사가 참여하며 뜨거운 반응을 얻었다. 롯데온의 ‘동행제품100’ 기획전에서는 동아식품의 김가네 식탁 감자탕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6배 증가한 6700만 원, 호정식품의 옛날 도나스가 13배 증가한 6200만 원의 매출을 올리며 온라인 판로 확대의 성공 사례를 보여주었다. 쿠팡의 동행제품100 기획전 역시 주목받았는데, 다정한 마켓의 반려동물 간식껌이 6400만 원, 부쉬맨의 워터프루프 선크림이 6000만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큰 인기를 얻었다.
오프라인 판매전 역시 144곳의 지역 행사와 정책 매장을 통해 327억 원의 성과를 달성하며 소비 회복에 기여했다. 전국적인 소비 회복과 소상공인 활력 제고라는 목표 아래, 비수도권 지역과 인구 감소 지역의 행사 비중을 76%로 높여 해당 지역의 상권과 소비자 접점을 넓히려는 노력이 돋보였다. 제주 개막식(8월 30일~9월 5일)은 APEC 중소기업장관회의 연계 행사로 1만 8000명의 방문객을 기록했으며, 제주지역 소상공인 51개 사가 참여한 판매전에서 8500만 원의 매출을 올렸다. 롯데백화점(잠실점)의 상생 판매전에서는 9월 9일부터 11일까지 50개 사가 참여해 1억 원의 매출을 올렸으며, 온누리상품권 증정 이벤트를 통해 대기업, 소상공인, 전통시장이 함께 성장하는 선순환적 유통 구조 마련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와 더불어, 전통시장 및 소상공인 매장의 소비 촉진을 위한 상생소비복권과 민간 기업 주도의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도 눈길을 끌었다. 10억 원 규모의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을 지급하는 상생소비복권 이벤트에는 1000만 명이 응모하는 등 높은 참여율을 보였다. 7개 TV 홈쇼핑사와 7개 카드사 역시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제품 판매 확대를 위한 특별 혜택과 캐시백, 할인 혜택을 강화하며 골목상권 활성화에 힘을 보탰다. 배달의민족은 제주 지역 전역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포장 주문 할인 쿠폰을 발급했으며, 집중호우 피해 지역 가게들을 위한 추가 할인 쿠폰 제공 등 취약 지역에 대한 지원도 잊지 않았다.
최원영 중기부 소상공인정책실장은 “따뜻한 소비는 소상공인에게 작은 희망의 불씨가 되고 우리 경제에는 힘찬 숨결을 불어넣는다”고 말하며, 이달 말 개최 예정인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을 통해 기존의 할인 축제들을 통합하여 쇼핑, 여행, 문화 등 다채로운 소비 혜택으로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꼼꼼히 준비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이번 동행축제의 성과는 침체된 소비 심리 속에서도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국민들의 동참이 있다면 내수 시장에 긍정적인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