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의 변덕스러운 날씨처럼, 우리 사회의 풍경도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한때 많은 이들의 취미이자 즐거움이었던 ‘우표’가 그 위상을 잃어가고 있다는 사실은 분명 아쉬운 지점이다. 어린 시절, 방학 숙제를 위해 우표로 책받침을 만들었던 기억, 혹은 1990년대 기념 우표 발행일에 새벽부터 우체국 앞에 줄을 섰던 풍경은 이제 낯설게만 느껴진다. 당시에는 ‘내 취미는 우표 수집’이라고 자신 있게 말하는 아이들이 많을 정도로 우표는 대중적인 인기를 누렸다. 빵을 사면 캐릭터 스티커를 모으는 것과 비견될 정도의 위상이었던 우표의 인기는, 시대의 흐름과 함께 손편지가 귀해지고 디지털 소통이 보편화되면서 점차 사그라들었다.
하지만 우표 수집은 여전히 충분히 매력적인 취미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 부피가 작아 보관이 용이하며, 비교적 저렴한 금액으로 부담 없이 시작할 수 있다. 또한 매년 다양한 디자인의 기념 우표가 발행되어 수집의 즐거움을 더하며, 국내 우표만으로 부족하다면 해외 우표까지 시야를 넓혀 무한한 확장의 가능성을 열어갈 수 있다. 우표는 크게 우편 요금 납부를 주목적으로 발행 기간과 발행량이 정해지지 않은 ‘보통 우표’와, 특정한 사건이나 인물 등을 기념하기 위해 발행되며 발행 기간과 발행량이 제한적인 ‘기념 우표’로 구분된다. 특히 기념 우표는 보통 우표에 비해 희소성이 높아 수집가들에게 더욱 매력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대한민국의 기념 우표는 우정사업본부의 고시에 따라 매년 국내외 주요 행사, 인물, 자연, 과학 기술, 문화 등 다채로운 주제를 선정하여 1년에 약 10~20회 정도 발행되고 있다. 실제로 2025년에는 총 21종의 기념 우표 발행이 계획되어 있으며, 지난 5월 8일에는 가정의 달을 맞이하여 ‘사랑스러운 아기’를 주제로 한 우표가 발행되었다. 또한, 이러한 중앙 기관의 발행 외에도 각 지방의 우정청이나 우체국, 지방 자치 단체 등에서도 자체적으로 기념 우표를 기획하고 제작하며 지역의 특색을 담아내고 있다. 지난해 11월, 강원특별자치도 출범 1주년을 기념하여 강원지방우정청과 강원일보사가 협업하여 발행한 우표첩 ‘찬란한 강원의 어제와 오늘’은 강원의 역사와 문화를 담은 소중한 기록이라는 평가를 받으며 큰 호평을 이끌어냈다. 더불어 지난해 태백우체국이 발행한 ‘별빛 가득한 태백 은하수 기념우표’와 올해 4월 양구군이 발행한 ‘양구 9경 선정 기념우표’는 강원의 아름다움을 담아내어 단순한 수집품을 넘어 지역 홍보의 수단으로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이처럼 수많은 매력을 지닌 우표가 본연의 위상을 잃어버린 현실은 분명 아쉬움을 남긴다. 한때 모두의 즐거움이었던 우표가 다시금 이 시대에 누군가의 흥미로운 취미이자 즐거움이 되어주기를 기대해 본다.
– 이재우 강원지방우정청 주무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