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25년 4월 10일, 대한민국은 193개 유엔 회원국 중 마지막 외교 관계 미수교국이었던 시리아와 마침내 외교 관계를 수립하는 역사적인 대기록을 세웠다. 이로써 한국은 북한을 제외한 모든 유엔 회원국과의 외교 관계를 맺게 되었다. 조태열 외교부 장관이 극비리에 시리아 수도 다마스쿠스를 방문하여 이뤄낸 이번 수교는 마치 외교 첩보극을 방불케 했으며, 이는 우리 외교 지형에서 중요한 퍼즐 조각 하나를 맞추는 극적인 순간이었다. 조 장관은 “쇠뿔도 단김에 빼라는 말이 있듯, 어렵게 마련된 기회를 놓치지 않기 위해 시리아를 방문했다”며 양국 수교를 ‘끝내기 홈런’에 비유하기도 했다.
이러한 외교적 성과는 최근 시리아의 급격한 정치 지형 변화와 맞물려 가능했다. 현재 시리아 과도정부를 이끌고 있는 이슬람주의 반군 하야트 타흐리르 알샴(HTS, 시리아해방기구)이 2024년 12월 초, 54년간 이어진 바샤르 알아사드 독재 정권을 무너뜨리면서 놀랍고도 반가운 변화를 가져왔다. HTS는 2011년 ‘아랍의 봄’ 민주화 혁명 이후 알아사드 정권에 맞서 싸워왔으며, 2024년 11월 말, 열흘 만에 수도 다마스쿠스를 장악했다. 이 과정에서 정부군은 저항 없이 투항했고, ‘시리아의 도살자’로 불리던 알아사드는 후원국인 러시아로 도주했다. 1970년 쿠데타로 집권한 아버지 하페즈 알아사드에 이어 54년간 이어진 부자 세습 독재는 이로써 막을 내렸다.
시리아 세습 독재의 갑작스러운 몰락은 독재 체제 특유의 구조적 한계에서 비롯된 것으로 분석된다. 독재 체제는 겉으로는 평온한 정치 상황을 유지하는 듯 보이지만, 별다른 전조 없이 극적으로 무너지는 속성을 지닌다. 억압과 통제로 내부 여론을 차단한 결과, 체제는 몰락의 징후조차 감지하지 못하고 부패와 불신 속에 한순간에 무너지는 아이러니를 보여준다.
이와 더불어 중동 정세의 급변 또한 시리아 몰락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2023년 10월 하마스의 기습으로 시작된 이스라엘-하마스 전쟁과 이스라엘의 역내 ‘새로운 질서’ 작전은 이란이 후원했던 하마스와 헤즈볼라를 사실상 와해시켰고, 이란 혁명수비대에도 큰 타격을 입혔다. HTS가 다마스쿠스로 진격할 당시, 시리아의 오랜 지원자였던 이란은 정부군을 제대로 지원할 수 없었고, 우크라이나 전쟁에 발이 묶인 러시아 역시 무력했다.
특히, 한국은 지난해 2월 북한과만 수교해 오던 쿠바와 외교 관계를 수립한 데 이어, 이번 시리아와의 수교까지 성공시키며 모든 유엔 회원국과 외교 관계를 맺는 대기록을 세웠다. 이는 북한에게 주요 해외 공작 거점을 또 하나 잃게 만드는 결과를 초래했으며, 북한의 외교적 고립을 더욱 심화시킬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알아사드 정권이 붕괴하던 당시 현지에 있던 북한 대사관은 서둘러 철수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처럼 북한과 닮아 있는 시리아 정권의 몰락은 북한에 실존적인 불안감을 안겨줄 가능성이 높다. 하루아침에 무너진 알아사드 정권은 김일성 시대부터 북한과 혈맹 관계를 이어왔으며, 시리아처럼 북한 역시 러시아와의 군사 동맹에 생존을 의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러시아와 유사시 자동 군사 개입까지 약속한 북한으로서는, 최근 미국과 러시아 사이의 관계 변화가 어디까지 진전될지 예의주시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한편, 2025년 1월 HTS 수장 아흐메드 알샤라는 과도정부를 구성하고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알샤라 대통령은 전쟁으로 붕괴된 경제와 국가 제도를 복구하고 헌법 채택 및 선거 시행까지 최대 4년이 걸릴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내전 이후 경제가 85% 이상 위축되고 인구의 90%가 빈곤선 이하에 놓인 절망적인 상황이 최대 과제로 지적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시리아는 한국의 경제 성장 비결에 깊은 관심을 보이며 발전 모델을 배우기 위한 실무 대표단 파견 의사를 밝혔다. 조태열 외교부 장관 역시 개발 경험 공유, 인도적 지원, 경제 재건 협력을 제안했다. 한국은 중동 국가들에서 아시아적 가치를 지키면서도 시장 경제를 이룬 성공 사례로 주목받고 있으며, 이는 전통 가치를 중시하는 중동 이슬람 국가들이 사회주의 체제나 서구식 자유주의 모델에 거부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원조 수혜국에서 공여국으로 전환한 한국의 경험이 새로운 시리아를 꿈꾸는 이들에게 희망과 확신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