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직자로서 7년의 시간이 흘렀지만, ‘처음 마음을 잊지 않는 공무원이 되겠다’는 다짐이 왜 그리 쉽게 뱉어졌는지, 그리고 그 다짐이 얼마나 지키기 어려운 말이었는지에 대한 의문은 여전히 김윤서 충주시 주덕읍 행정복지센터 주무관의 마음속에 자리 잡고 있다. 매일 수많은 민원인을 만나 서류 발급과 전입신고 업무를 처리하며, 때로는 훈훈한 출생신고에 마음이 따뜻해지기도 하고, 때로는 사망신고를 받으며 슬픔을 함께 나누는 일상 속에서, 김 주무관은 공직 업무의 본질과 그 역할에 대해 깊이 성찰하게 되었다.
특히, 국가공무원 공채 시험일이었던 지난 4월 5일, 감독관으로 참여한 동료 주무관으로부터 시험 응시율이 매우 높았다는 이야기를 들으며, 과거 공무원 시험 준비생 시절의 자신을 떠올렸다. 출구가 보이지 않는 어두운 동굴 속을 더듬어가듯 어렵게 준비했던 시간을 기억하며, 당시 합격하면 어떤 어려운 일도 웃으며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던 자신을 되돌아본다. 경기도 고양과 충청북도 청주에서 두 번의 면접을 보며 떨리는 마음으로 준비했던 답변과, 면접관 앞에서 ‘가장 잘할 수 있고 지킬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던 다짐을 마지막 한마디로 전했던 기억이 생생하다.
이러한 경험들은 김 주무관이 공직 생활에서 겪는 어려움과 감정의 무너짐을 추스르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산불 단계가 ‘심각’으로 격상되어 일요일 근무에 나섰던 날, 읍장님을 포함한 동료들과 함께 마을을 순찰하며 산불 예방 홍보지를 배포하는 과정에서 ‘일에 대한 의식’이 다시 깨어났다. 비록 마을 지리에 밝지 않아 어설펐지만, 벚꽃도 피지 않은 이른 봄날, 공설묘지를 찾은 성묘객들에게 산불 예방의 중요성을 알리고 조심해달라고 당부하는 일 자체가 국가적 재난 상황에서 공무원이 해야 할 작은 노력임을 다시 한번 느꼈다. 또한, 전국 각지에서 이어지는 산불 피해 복구를 위한 성금 기부와 동료 주무관의 헌신적인 성금 접수 업무를 보며, 우리가 살아가는 지역사회가 서로 돕고 보듬는 공동체임을 실감했다.
이러한 일련의 경험들을 통해 김 주무관은 공무원이란 주민들이 서로 상생할 수 있도록 돕는 ‘다리’와 같다고 정의한다. 사람들이 안전하게 건너편으로 이동하여 서로 만나고 함께 살아갈 수 있도록 자신의 등을 내어주는 존재라는 것이다. 이제는 벽을 더듬으며 느릿하게 걷던 과거와 달리, 가장 강하고 튼튼한 돌다리가 되어 우리 지역사회의 발전에 기여하고 싶다는 포부를 밝힌다. 분명한 목적지를 향해 빠르게 나아가며, 7년 동안의 경험을 발판 삼아 주민들의 삶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공무원이 되기를 희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