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극장이 9월 3일(수)부터 28일(일)까지 <창극 중심 세계 음악극 축제>(이하 ‘세계 음악극 축제’)를 개최하며 국악의 한 갈래인 창극의 현주소를 조망하고 문화 교류의 장을 마련하는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다. 전국적으로 다양한 축제가 개최되는 가운데, 올해 제1회를 맞이하는 국립극장의 ‘세계 음악극 축제’는 그 의미가 남다르다. 이는 단순한 지역 축제를 넘어 세계적인 축제로 나아가고자 하는 야심 찬 포부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동아시아 포커싱(Focusing on the East)’이라는 주제 아래, 우리나라 창극을 중심으로 한국, 중국, 일본 3개국의 전통 음악 기반 음악극 총 9개 작품을 23회에 걸쳐 선보이는 이번 축제는 4주간의 긴 여정을 통해 관객들에게 다채로운 경험을 선사한다.
이번 축제는 국립창극단을 주축으로 신규 축제로서 우리나라 창극의 현재를 세계 음악극의 흐름 속에서 조망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개막작으로는 국립극장 제작 공연인 국립창극단의 신작 <심청>이 공연되었다. <심청>은 효녀 심청의 고전적인 이야기에 현대적 시각을 더해, 억압받았던 사회적 약자를 대변하는 인물로 재해석되었다. 연출가 요나 김은 전통 판소리의 깊이를 유지하면서도, 오늘날의 시선으로 심청을 새롭게 그려냄으로써 관객들에게 신선한 감동을 선사했다. 비록 필자는 직접 관람하지 못했지만, 주변 지인들의 호평이 쏟아지고 있어 <심청>이 이번 축제의 성공적인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축제의 주요 프로그램 중 하나로 선보인 해외 초청작 <죽림애전기>는 중국 월극을 바탕으로 한 작품으로, 홍콩 단체 관광객들까지 발걸음을 이끌 정도로 큰 관심을 모았다. <죽림애전기>는 위나라 말기부터 진나라 초기를 배경으로, 도가 철학과 은둔의 미학을 추구했던 ‘죽림칠현’ 후손들의 삶을 그려내며, 가면을 쓴 배우들의 노래, 춤, 연기, 그리고 무술이 결합된 역동적인 공연을 선보였다. 2023년 홍콩 아츠 페스티벌에서 호평받았던 이 작품은 한국 관객들에게 중국 전통극의 매력을 알리는 기회가 되었다. 공연을 관람한 중국인 유학생 호곤 씨는 <죽림애전기>가 가정과 국가라는 두 측면을 섬세하게 그려냈으며, 전통 문화 요소와 현대 기술의 조화가 인상 깊었다고 평가했다. 또한, 그는 이번 축제가 한국 문화정책의 다양성과 포용성을 보여주는 훌륭한 행사이며, 창극을 중심으로 한중일 음악극이 어우러지는 다채로운 문화 교류의 장이라고 언급했다. 호곤 씨는 한국 문화 콘텐츠 제작자들이 세계화된 시각과 문화 수출 의식을 가지고 있으며, 선진국의 장점을 흡수하여 전 세계로 확산시키는 점을 한국 문화의 특징으로 꼽았다.
국내 초청작 <정수정전> 또한 관객들의 호평을 받았다. 조선 말, 여성으로서 자신의 삶을 당당하게 살아가고자 남장을 하고 과거 시험에 응하는 정수정의 이야기를 판소리와 민요를 통해 풀어낸 이 작품은, 당시 여성들이 겪어야 했던 고충과 홀로서기 과정을 생생하게 그려냈다. ‘모든 것의 중심에 너를 두거라’라는 대사처럼, 자신을 지키며 꿋꿋하게 살아가는 한 인간의 서사에 초점을 맞춘 <정수정전>은 공동 창작의 방식을 통해 배우와 제작진이 함께 만들어낸 의미 있는 작품이었다. 공연 관계자는 국립극장에서 민간 단체의 작품이 공연될 수 있었던 것에 대한 기쁨을 표하며, 앞으로 이러한 교류와 협업의 기회가 더욱 확대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올해 ‘동아시아 포커싱’이라는 주제로 첫걸음을 내디딘 <세계 음악극 축제>는 동아시아 3개국의 전통 음악극의 과거, 현재, 미래를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국립극장의 프로그램 외에도 광주아시아문화전당, 국립민속국악원 등 여러 기관이 연계하여 한·중·일 공연을 선보인다. 국립극장은 관람객들을 위한 ‘부루마블’ 이벤트 등 다양한 즐길 거리도 제공하며 축제의 재미를 더했다. 앞으로 해외 작품 초청과 국내외 작품 간의 협업을 통해 전 세계 다채로운 음악극을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글로벌 축제로 확장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이번 <세계 음악극 축제>는 한국 창극을 중심으로 동아시아를 넘어 세계로 뻗어 나갈 국립극장의 문화적 지평 확장을 보여주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