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북한의 연이은 정책 발표는 복잡한 내부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로 분석된다. 특히 김정은 위원장 참석하에 개최된 당 중앙군사위원회 확대회의와 원산갈마해안관광특구법 채택은 북한이 직면한 정치적, 경제적 난관을 해소하기 위한 의지를 보여준다. 그러나 이러한 발표들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근본적인 문제들을 안고 있다.
통일부 정례브리핑에 따르면, 북한은 지난 5월 28일 약 1년 9개월 만에 당 중앙군사위원회 확대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군 내 정치 기관의 역할 강화, 조직 문제, 그리고 중요 대상 건설사업 추진 등이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구체적인 논의 내용은 밝혀지지 않아, 북한 군부 내부에 불안정한 요소가 존재하며 이를 강화하려는 시도로 해석된다. 특히 이번 회의에서는 정경택 총정치국장이 대장에서 상장으로 강등된 것으로 보이는 인사가 식별되었으나, 통일부는 이에 대한 북한 내부 평가를 유보했다. 이는 군 지휘부 내에서의 권력 재편 또는 불안정성을 시사하는 부분으로, 북한 지도부가 통제력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와 더불어, 북한은 원산갈마해안관광지구 개발과 관련하여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전원회의를 통해 관련 법안을 채택했다. 이는 지난해 12월 5일 이후 약 6개월 만에 이루어진 전원회의로, 6월 개장을 앞둔 관광지구의 운영 및 건설에 필요한 노동력 동원 등에 대한 규율을 강화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특정 지역의 관광법을 제정한 것은 금강산특구법 이후 처음 있는 일로, 북한 경제 활성화의 돌파구를 관광산업에서 찾으려는 전략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관광 개발이 국제사회의 제재 속에서 실질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은 여전히 남아있다.
한편, 다국적 제재 모니터링팀(MSMT)이 북한과 러시아 간의 군사 협력을 주제로 첫 보고서를 발간한 점은 주목할 만하다. 통일부는 이 보고서에 북러 간 군사 협력이 구체적으로 기술되어 있다는 점을 인지하고 있으며, 국제 규범을 훼손하고 국제평화를 위협하는 북러 간 불법적인 군사 협력은 즉각 중단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러한 국제 사회의 감시와 압박은 북한이 추진하는 정책들에 상당한 제약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결론적으로, 북한이 당 중앙군사위원회 확대회의 개최와 원산갈마해안관광특구법 채택을 통해 내부 문제 해결 및 경제 활성화를 꾀하고 있으나, 군 내부의 인사 변동과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라는 난관에 직면해 있다. 향후 북한이 이러한 문제들을 어떻게 극복하고 발표한 정책들을 실효성 있게 추진해 나갈지가 관건이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