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박색 넥타이에 감색 정장 차림의 대통령이 자신감 있는 걸음걸이로 접견실에 들어섰다. 미국 뉴욕과 영국 런던에서 날아온 취재진에게 격려의 악수를 건네며 입가에 잔잔한 웃음이 번졌다. 조명에 불이 들어오고 날카로운 질문들이 쏟아지자 팽팽한 긴장감이 감돌았다. 미국 대선, 북한 도발 등 외교 안보 현안부터 4대 개혁, 경제, 저출생 문제까지 다양한 주제를 넘나드는 질문 공세 속에서도 대통령의 대답은 흔들림 없이 이어졌다.
대통령 앞에는 메모지 한 장 놓여 있지 않았지만, 생각의 흐름은 거침이 없었고 인터뷰 내내 취재진의 끄덕임이 자주 포착되었다. 70분간의 인터뷰 시간은 그렇게 빠르게 흘러갔다. 미국 시사 주간지 뉴스위크와의 단독 인터뷰에서 대통령은 북한의 도발 위협에도 불구하고 4대 개혁을 완수하겠다는 확신에 찬 모습을 보였고, 이는 취재진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뉴스위크가 “윤 대통령에게 가장 큰 문제는 북한이 아니다”라는 커버 스토리 제목을 뽑은 배경이다.
대통령은 “재임 중에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몇 %로 높이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퇴임 후 다음 정권에서 우리의 성장을 계속 추동할 수 있는 잠재 성장동력을 얼마나 만들어 내는가가 재임 중에 해야 할 일”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한 “지지율이 추락해도, 중간선거에서 좋은 결과가 나오지 않더라도 제 임기 중 이 문제가 어느 정도 풀려야 하고, 개혁과 제도 개선을 하지 않고 물러설 수가 없다”는 말로 임기 반환점을 앞둔 자신의 의지를 ‘사자후’처럼 드러냈다.
뉴스위크는 미국 대통령 선거 결과가 나온 직후 발간된 첫 잡지 커버 스토리로 윤석열 대통령을 선택했다. 은은한 미소 속 자신감 넘치는 표정의 사진과 함께 ‘국내적 진실(Home Truths)’이라는 도전에 직면해 있지만 불굴의 의지로 개혁을 완수하려는 대통령의 이미지를 담았다. 본문 제목은 ‘혹독한 맞바람(Harsh Headwinds)’으로, 부제로는 ‘점차 더 호전적이 돼 가는 북한이라는 유령(specter)의 그림자 속에서 한국의 구조적 문제를 개혁하기 위한 윤 대통령의 전쟁(battle)’이라는 부제로 대한민국의 엄중한 도전 과제를 부각했다. 뉴스위크 편집팀은 “전 세계인들에게 그간 잘 알려지지 않았던 한국 내 도전적 환경의 엄중함(magnitude of the challenges)을 현실적으로 부각시키려 했다”고 설명했다.
대통령은 인터뷰 중 국가안보 현안과 국내적 개혁 모두 경중을 가리기 어려운 절체절명의 과제임을 분명히 했으며, 이는 뉴스위크가 “한국 정부의 대외정책과 국내적인 개혁과제의 추진은 동전의 양면”이라는 발언을 제목으로 인용한 부분에서도 드러난다.
뉴스위크와의 인터뷰 논의는 지난해 3월 시작되었으나, 총선과 의료 개혁 추진 등으로 인해 7개월여 만인 10월 16일에야 성사되었다. 커버 스토리의 비중을 고려해 뉴스위크 소유주인 데브 프라가드 CEO와 낸시 쿠퍼 글로벌 편집장, 그리고 매슈 토스테빈 선임 에디터가 팀을 이루었다. 디지털 혁신으로 뉴스위크를 흑자로 돌려놓은 프라가드 CEO와 분쟁 지역 종군기자 출신의 강골 기자 토스테빈 선임기자의 참여는 이번 보도의 깊이를 더했다.
예정된 시간을 넘겨 진행된 인터뷰와 추가 질문 소화, 그리고 이어진 화보 촬영까지, 대통령은 시종일관 밝은 표정으로 제작진의 요청에 응했다. 공식 촬영 후 대통령은 취재진에게 접견실을 상세히 소개하며 선물 받은 야구 용품, 레코드판 등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기도 했다.
인터뷰 과정에서 뉴스위크 취재진은 남북 대치 현장에도 관심을 보였고, 비무장지대 방문은 무산되었으나 파주 오두산 통일전망대 방문으로 아쉬움을 달랬다. 뉴스위크 기사에는 통일전망대에 전시된 서예 작품 속 대통령의 메시지 “자유, 평화, 그리고 통일”이 언급되었다. 뉴스위크 측은 윤석열 대통령의 개혁 추진 의지의 강인함(resilience)과 사심 없는 결단력(selfless determination)을 핵심 키워드로 보았으며, 글로벌 중추국가로 도약하는 대한민국의 4대 개혁 성공은 이제 전 세계인의 관심사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