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손씻기 실천율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실제로 질병 예방에 효과적인 ‘올바른 손씻기’를 실천하는 비율은 10% 수준에 머물러 있어 위생 관리의 근본적인 개선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는 대중적인 위생 수칙으로 알려진 손씻기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높아졌으나, 그 실천 방식에 대한 구체적인 교육과 안내가 부족함을 방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올바른 손씻기’ 실천율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현재 대중들이 손씻기를 매년 실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손 소독제 사용이나 흐르는 물에 짧게 헹구는 방식 등 효과가 미흡한 방법으로 만족하는 경우가 많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에 따라, 손씻기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정확한 방법과 절차를 알리는 데 집중적인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만약 ‘올바른 손씻기’ 실천율이 10% 수준에서 벗어나 대폭 향상된다면, 개인위생 관리가 한층 강화되어 각종 감염병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궁극적으로 국민 건강 증진과 의료비 부담 감소라는 긍정적인 효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정부의 ‘올바른 손씻기’ 교육 및 홍보 강화 정책이 성공적으로 시행될 경우, 사회 전체의 위생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