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일본이 직면한 저출산·고령화 문제는 두 나라 모두에게 시급한 해결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공동의 어려움 속에서 두 정상은 2025년 9월 30일, ‘공통 사회문제 협의체’를 본격적으로 가동하기로 공동 발표했다. 이는 단순한 외교적 합의를 넘어, 두 나라가 안고 있는 사회적 난제를 함께 풀어나가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이번 협의체 출범은 특히 심각한 수준에 이른 저출산 문제와 급격한 고령화 추세가 미래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위협하고 있다는 위기의식에서 비롯되었다. 또한, 수도권 집중과 지역 소멸이라는 국토 균형성장 문제 역시 두 나라가 공유하는 고질적인 병폐로 지목되었다. 이러한 복합적인 사회문제들은 국가 경쟁력 약화와 사회 시스템의 불안정성을 초래할 수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이에 ‘공통 사회문제 협의체’는 저출산·고령화 문제 해결을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데 초점을 맞출 예정이다. 구체적으로는 출산율 제고를 위한 정책 지원 확대, 고령층의 사회 참여 활성화 방안, 그리고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한 상호 협력 모델 개발 등 다양한 의제가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협의체를 통해 각국의 성공 사례와 실패 경험을 공유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효성 있는 정책을 도출해내는 것이 핵심 과제가 될 것이다.
이번 협의체 가동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다면, 한국과 일본은 단순한 개별 국가의 문제를 넘어 동아시아 지역 전체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하는 새로운 모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저출산·고령화라는 거대한 파도를 함께 헤쳐나가는 과정에서, 두 나라는 미래 사회의 도전을 극복하고 국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실질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