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변하는 경제 환경과 예측 불가능한 대내외적 불안정 속에서 우리 사회 전반의 정신건강이 위협받고 있다. 얼어붙은 경제 상황 속 자영업자들의 고통, 글로벌 경기 침체, 전쟁, 고물가, 고금리, 청년 실업, 저출산 및 고령화 문제 등은 개개인의 노력만으로는 극복하기 어려운 과제로 산적해 있다. 이러한 어려움은 학생들의 표정을 어둡게 하고, 취업 후에도 미래에 대한 확신을 앗아가며, 예측 불가능한 사회 속에서 불안감을 증폭시켜 작은 자극에도 짜증과 분노를 폭발하게 만드는 현실을 초래하고 있다. 더욱이 노인들은 신체적 질병, 경제적 어려움, 정서적 외로움에 시달리며 사회로부터 소외되고 있으며, 생산성만을 중시하는 사회에서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다. 이러한 답답함과 고립감은 많은 이들에게 ‘희망’이라는 단어조차 사치로 느껴지게 만들고 있다.
이러한 절망적인 상황 속에서, 대한민국은 잊고 있던 저력을 다시 불러일으켜야 할 시점에 와 있다. K-pop, K-drama, K-food로 대표되는 문화적 성공과 세계 10위권 경제 대국으로서의 위상, 그리고 정보통신, 의료, 교육, 치안 등 여러 분야에서 이룬 선진국 반열의 성과는 결코 우연이 아니다. 해외에서 온 이들이 경탄하는 질서, 시민의식, 안전함은 우리 사회가 오랜 시간 축적해 온 끈기와 노력의 결과물이다. 카페에 귀중품을 두고 자리를 비울 수 있는 평범함은 이미 세계적으로도 특별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비록 물질적 풍요 속에서도 행복지수가 낮고, 정서적 고립감과 피로감을 느끼는 사회가 되었지만, 이는 우리가 앞만 보고 달려온 결과일 수 있다. 따라서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단순한 경제 성장이나 기술 발전이 아닌, 삶의 가치를 회복하고 지나온 삶을 돌아보며 마음을 치유하는 여유이다.
새 정부는 특정 지역이나 집단을 넘어 모든 국민의 정부이자 대통령으로서 국민들의 변화와 혁신에 대한 기대를 기억해야 한다. 정부는 이 땅을 지켜온 국민들의 희생과 열정을 바탕으로, 창의성, 근면성, 공동체 정신과 같은 소중한 자산을 건강하고 지속 가능한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국민은 정부의 진정성과 방향성을 신뢰하고, 정부는 국민을 믿을 때 진정한 회복이 가능하다. 우리 마음속에 존재하는 ‘희망의 씨앗’이 싹틀 수 있도록 토양을 만들고 햇살을 비추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앞으로도 난관은 예상되지만, 이제는 ‘혼자 버티는’ 시간이 아닌 ‘함께 걸어가는’ 시간이 되어야 한다. 앞만 보고 달려온 길 위에서 잠시 멈춰 서로를 살피고, 지친 옆 사람을 일으켜 세우고, 또한 누군가의 손에 의지해 일어설 수 있을 때 비로소 건강한 사회가 될 수 있다. 오랜 고난과 좌절 속에서도 살아남아 우리 가슴 속에 뜨겁게 살아 숨 쉬는 ‘희망의 유전자’를 다시 꺼내 들 때, 대한민국은 이 위기를 극복하고 새로운 도약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