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 후 예상치 못한 부부 갈등이 황혼이혼으로 이어지는 사례가 늘면서, 은퇴 후 배우자와의 관계 재정립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퇴직한 남편이 집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발생하는 ‘남편재택 스트레스 증후군’이 아내의 정신 건강을 위협하고, 이는 결국 부부 갈등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공무원 퇴직자들의 수기를 분석한 결과, 은퇴 후 ‘갈 곳이 없다’는 막막함과 더불어 퇴직한 남편과 아내 사이의 불편함이 상당한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고위직 공무원은 퇴직 후 3개월간 집에만 머물렀을 때 아내의 눈치를 보며 답답함을 느꼈다고 토로했다. 아내는 남편이 집에 없는 시간을 바라게 되었고, 집안일을 돕겠다는 남편의 서툰 행동과 잔소리는 오히려 짜증을 유발하기도 했다. 이러한 불편함은 남편에게도 마찬가지로 작용하여, 아내의 힘든 모습을 보며 죄책감을 느끼거나 사소한 실수로 핀잔을 들을 때 서글픔을 느끼는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우리나라보다 20년 앞서 고령사회에 진입한 일본에서 이미 오래전부터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었다. 일본에서는 퇴직한 남편의 존재로 인해 아내가 심한 스트레스를 받아 우울증, 고혈압, 천식, 공황장애 등 다양한 건강 이상으로 발전하는 현상을 ‘남편재택 스트레스 증후군’이라 부르며, 남편이 원인이 되어 생기는 병이라는 의미에서 ‘부원병(夫源病)’이라고도 칭한다. 이는 한국과 일본이 남편이 현역으로 활동하는 동안 부부가 각자 다른 세계에서 살아왔기 때문에, 은퇴 후 갑자기 집에 머무는 남편에게 아내가 제대로 적응하지 못하면서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일본의 경우, 지난 20여 년간 전체 이혼 건수 대비 혼인지속기간 20년 이상인 중년·황혼이혼의 비율이 1990년 14%에서 2023년 23%로 증가했다. 성격차이, 경제문제, 외도 등 전통적인 이혼 사유와 더불어 퇴직 후 부부 갈등이 중요한 이혼 계기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다. 이러한 현실에 직면하여 일본의 노후설계 전문가들은 퇴직을 앞둔 부부들에게 은퇴 후 부부 화목을 위한 특별한 노력을 당부하며, 낮 동안 각자만의 시간을 가질 것을 권유하고 있다. 실제로 일본에서는 ‘낮에는 집에 없는 남편’이 가장 인기 있는 남편 유형으로 꼽힐 정도다.
우리나라 역시 이러한 부부 갈등 문제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지난 20여 년간 전체 이혼율은 꾸준히 낮아졌지만, 중년·황혼이혼의 비율은 1990년 5%에서 2023년 36%로 급증했다. 이러한 증가 배경에는 은퇴 후 부부 갈등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언론 보도나 노후설계 강의 현장에서도 관련 고민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퇴직 후 노후자금 마련만큼이나 부부 화목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이 절실하다. 부부 모두가 낮 동안 수입 활동, 사회공헌 활동, 취미 활동 등 자신만의 시간을 가지려는 의식적인 노력을 통해 이러한 갈등을 예방하고 건강한 노후를 만들어나가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