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디지털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 특히 성장 잠재력이 높은 중동 시장 진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이 드러나고 있다. 젊은 인구 구조와 높은 성장률, 적극적인 투자 유치 환경을 갖춘 중동은 디지털 전환 투자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전략적 요충지임에도 불구하고, 우리 기업들은 해외 판로 개척에 상당한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상황이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은 67개 국내 디지털 기업들과 함께 UAE 두바이에서 한국 디지털 공동관을 운영하며 인공지능(AI)을 비롯한 차세대 디지털 기술과 서비스를 글로벌 시장에 선보이는 중동 디지털 수출개척단 활동을 펼쳤다.
이번 수출개척단 활동은 국내 기업들의 해외 진출 수요가 매우 높은 UAE를 중동 시장 진출의 관문으로 삼아 진행되었다. 특히 지난 2023년에 시작된 이래 세 번째로 진행된 이번 행사는 NIPA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등이 주관하여 GITEX Global과 GITEX Expand North Star에 한국 디지털 공동관을 운영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통해 국내 기업들은 AI를 비롯한 첨단 디지털 기술과 서비스를 세계 시장에 효과적으로 알리고, 한국 디지털 기업의 혁신 역량을 증명하며 글로벌 판로를 확대하는 중요한 계기를 마련했다.
앞서 제기된 중동 시장 진출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기 위한 노력도 병행되었다. 전시 기간 중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NIPA가 주관한 한-중동 비즈니스 파트너십 행사에서는 5건의 수출계약과 기업 간 MOU 체결이라는 구체적인 성과를 달성했으며, 이는 500만 달러 규모의 경제적 가치를 창출했다. 이 과정에서 한국과 중동 간 디지털 협력의 높은 잠재력을 확인할 수 있었고, 우리 기업들이 중동 시장에서 새로운 성장 기회를 창출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재확인했다. 구체적인 성과로는 인피니트헬스케어의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 계약 체결, 웨이즈원의 실시간 교통정보 통합관리 솔루션 및 포시에스의 스마트 페이퍼리스 솔루션에 대한 MOU 체결 등이 포함되며, 이는 양국 간 협력의 범위를 넓히는 의미 있는 결과로 평가된다.
나아가 한국과 중동의 주요 디지털 기업 관계자를 초청하여 개최된 한-UAE AI 포럼은 양국 간 AI 분야 협력의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켰다. 김득중 NIPA 부원장은 개회사를 통해 “AI 분야에서 양국의 협력은 글로벌 인공지능 강국을 위한 혁신 동력이 될 것”이라고 강조하며 미래 협력의 방향성을 제시했다. 또한, 백준호 퓨리오사AI 대표는 “AI 반도체는 AI 경쟁력의 근간을 이루는 기술로 양국이 소버린 AI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서 반드시 협력해야 할 분야”라고 역설했으며, 김태호 노타AI CTO는 “AI가 중동에서도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실질적 도구로 활용될 것”이라고 전망하며 참석자들의 높은 관심을 이끌어냈다.
이러한 활동들은 국내 디지털 기업들의 중동 시장 진출이 단순한 기술 소개를 넘어 실질적인 계약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박태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지난 6월 인도네시아와 베트남에 이어 이번 중동 지역까지 수출개척단 활동을 통해 국내 AI·디지털 기업이 해외 홍보를 넘어 실질적인 계약 성과를 확대하고 있다”고 평가하며, “앞으로도 글로벌 AI·디지털 시장에서 확고한 입지를 다질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지원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혀, 향후 우리 기업들의 중동 시장에서의 성공적인 안착과 성장을 위한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 의지를 분명히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