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청년들이 정책을 ‘정해져서 내려오는 것’, ‘받는 것’으로만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 장학금, 취업 지원, 문화 혜택 등 자신에게 돌아오는 긍정적인 결과에만 초점을 맞추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수동적인 태도는 청년의 목소리가 정책 과정에 제대로 반영되지 못하는 근본적인 문제를 야기한다. 실제 현장에서 정책을 체험하고 기사로 풀어내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서는, 정책이 누군가의 기획과 실행으로 이어진 결과물이라는 사실을 피부로 느끼기 어렵다. 이러한 현실은 ‘내가 경험한 문제와 목소리가 정책 과정에 반영된다면 더 나은 제도가 만들어질 수 있지 않을까’라는 중요한 의문을 간과하게 만든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국무조정실 청년정책조정실은 ‘청년인재DB’를 운영하며 청년들이 단순한 수혜자에 머물지 않고 직접 정책을 제안하거나 집행 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었다. 이 누리집은 단순히 정보를 받아보는 창구에 그치지 않고, 개인의 이력과 관심사를 등록하면 정책위원회, 자문단, 기자단 등 다양한 활동 기회로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이는 청년을 ‘정책을 받는 사람’에서 ‘정책을 만들어가는 사람’으로 전환시키는 핵심적인 솔루션이다. 사용자는 프로필 지원을 통해 청년위원 등 다양한 정책 활동에 참여할 기회를 얻을 수 있다.
‘청년인재DB’를 통해 청년들은 정책 과정의 한 축이 될 수 있다는 현실감을 더욱 느낄 수 있다. 개인의 기자단 활동 경험, 현장 정책 사례, 그리고 청년 당사자로서 정책에 바라는 점 등을 자기소개서에 담아 등록하면, 국무조정실 청년정책조정위원회 실무위원회 위촉직 청년위원과 같이 실제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자리에 지원할 수 있다. 이 자리에서는 청년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다양한 정책 의제에 대한 논의와 자문을 맡게 된다. 더 나아가, 이 DB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는 프로필 등록만으로도 관련 담당자가 먼저 연락을 주고 참여를 제안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기회를 찾아 헤매는 것이 아니라, 정책과 청년을 연결해 주는 든든한 매개체가 있음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청년인재DB’의 활용은 청년들이 더 이상 정책의 수동적인 수혜자로 머물 필요가 없다는 인식을 확산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프로필을 올리고, 관심사를 드러내며, 정책에 목소리를 보탬으로써 제도 개선 과정에 주체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린다. 이는 곧 청년 스스로가 사회 변화를 만드는 동력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전망이다. 많은 청년들이 정책을 멀게 느끼고 자신과는 상관없는 영역이라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취업, 주거, 교육, 문화생활 등 삶의 전반이 정책의 영향 아래 놓여 있다. 따라서 청년이 직접 참여해 의견을 개진하고, 제도를 감시하며,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것은 매우 필요한 일이다. ‘청년인재DB’는 이러한 가능성을 열어주는 관문으로서, 앞으로 더 많은 또래 청년들이 이 제도를 알고 활용하며 정책을 ‘받는 것’에만 머물지 않고 함께 만들어가는 과정에 참여하는 청년이 늘어날수록 정책은 더 현실적이고 실효성 있게 발전할 것이라는 긍정적인 미래를 그려본다. 정책은 멀리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서 있는 자리에서 문제를 발견하고, 목소리를 내고, 직접 참여하는 순간 살아 움직이게 된다. ‘청년인재DB’는 그 출발선이며, 이제는 더 많은 청년이 그 문을 두드리고 함께 사회를 바꿔나가는 주체로 자리 잡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