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 대명절 추석을 앞두고 서민과 소상공인들의 생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금융 지원 및 생활비 경감 대책이 본격화된다. 명절을 앞두고 고금리 대출이나 불법 사금융으로 내몰리는 취약계층을 보호하고, 경기 침체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들의 자금난 해소를 지원하는 것이 이번 대책의 핵심적인 과제다. 이는 단순히 일회성 지원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장기적인 경제적 안정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겠다는 정부의 의지를 보여준다.
우선, 정부는 서민들의 금융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총 1,145억 원 규모의 서민금융 공급을 추진한다. 이 중 청년층을 위한 ‘햇살론 유스’에 400억 원이 배정되어, 사회 초년생들의 안정적인 경제 활동을 지원한다. 또한, 불법 사금융 피해 예방을 위한 대출에는 200억 원이 투입되며, 이는 고금리 사채의 유혹으로부터 서민들을 보호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최저신용자를 위한 보증부대출 역시 545억 원 규모로 공급되어, 신용도가 낮은 취약계층의 금융 기회를 확대할 전망이다.
근로자들의 생계 안정을 위한 임금체불 문제 해결에도 적극적으로 나선다. 사업주가 체불 임금을 지급할 수 있도록 ‘체불청산 지원융자’의 금리가 한시적으로 인하된다. 신용 대출의 경우 3.7%에서 2.7%로, 담보 대출은 2.2%에서 1.2%로 금리가 낮아진다. 근로자 역시 1.5%에서 1.0%로 금리가 인하된 융자를 통해 생계비를 지원받을 수 있게 된다. 이는 추석을 앞두고 임금 체불로 어려움을 겪는 근로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는 조치다.
가계의 핵심적인 지출 항목인 생활비 부담 경감에도 초점이 맞춰진다. 식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양곡 할인율을 20% 추가로 제공하며, 갑작스러운 질병이나 사고로 인한 의료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재난 의료비 지원을 600억 원 확대한다. 또한, 에너지 비용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에너지바우처 지원 대상도 확대하여 저소득층의 에너지 접근성을 높일 예정이다.
이와 함께, 명절 기간 소상공인 및 중소기업의 자금난 해소를 위해 역대 최대 규모인 43.2조 원의 명절 자금(대출·보증)이 공급된다. 전통시장 상인들에게는 성수품 구매 대금을 저리로 대출해주며, 보험료, 세정, 공공 계약, 하도급 등 소상공인들이 겪는 다양한 애로사항을 신속하게 해소하는 데 주력한다. 이러한 다각적인 지원책을 통해 명절 기간 동안 소상공인과 중소기업들이 안정적으로 경영 활동을 이어갈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이번 일련의 대책들이 차질 없이 시행된다면, 명절을 앞두고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서민과 소상공인들의 부담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금융 지원 확대와 생활비 경감 정책은 단순히 일시적인 호황을 넘어, 경제적 약자들이 희망찬 추석을 보내고 더 나아가 안정적인 경제 생활을 이어갈 수 있는 긍정적인 파급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