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 대명절인 추석 연휴를 앞두고 고물가로 인한 가계 부담 심화와 함께 ‘가성비’ 높은 여행 상품에 대한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정부는 국민들의 여행 접근성을 높이고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한 다각적인 할인 및 무료 개방 정책을 발표했다. 이는 급격히 상승한 물가로 인해 명절 기간 동안에도 여행을 망설이는 국민들의 부담을 덜어주고, 동시에 침체된 관광 산업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가장 눈에 띄는 정책은 ‘여행가는 가을’이라는 이름으로 진행되는 최대 50% 할인 혜택이다. KTX 관광열차 5개 정기 노선은 50% 할인된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가을여행 특별전’을 통해 선보이는 여행 상품 역시 최대 30% 할인된다. 더불어 숙박세일페스타(가을편)를 통해 10월 30일까지 숙박 상품에 대해 최대 5만 원의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이러한 파격적인 할인은 명절 기간 동안 가족 단위의 여행객들에게 큰 매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더 즐거운 발걸음’이라는 슬로건 아래 교통 및 주차비 지원 정책도 시행된다. 10월 4일부터 7일까지는 고속도로 통행료가 면제되며, 10월 2일부터 12월까지는 KTX 등 주요 열차의 역귀성 열차에 대해 30%에서 40%까지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주차비 부담 완화를 위해 10월 3일부터 9일까지는 무료 개방 주차장이 확대되며, 네이버지도, 카카오맵, TMAP 등 주요 지도 앱을 통해 이용 가능한 주차장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교통 편의 증진은 연휴 기간 동안 이동이 잦은 여행객들의 지출 부담을 크게 줄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여행지의 문턱을 낮추기 위한 노력도 병행된다. 10월 3일부터 9일까지는 궁·능·유적기관이 무료로 개방되며, 10월 5일부터 8일까지는 미술관 입장료가 면제된다. 또한, 10월 6일부터 8일까지는 국립자연휴양림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으며, 10월 3일부터 9일까지는 국립수목원 무료입장이 가능하다(단, 추석 당일은 휴원). 이러한 관광지 무료 개방은 국민들이 명절 기간 동안 보다 풍성하고 다채로운 문화생활을 누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할인 혜택도 상향 조정되었다. 비수도권 전용 공연·전시 쿠폰의 경우, 공연 예술은 1매당 1만 원에서 1.5만 원으로, 미술 전시는 1매당 3천 원에서 5천 원으로 할인 금액이 상향되었다. 또한, 비수도권 및 인구 감소 지역 등에서 사용할 수 있는 지역사랑상품권 할인율도 높아져, 지역 내 소비를 촉진하는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정책들은 고물가 시대에 서민들의 명절 나들이 부담을 덜어주고, 동시에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