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의 발전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쓰레기와 그로 인한 환경 문제, 그리고 과거 산업화 시대의 애환은 현재 우리가 당연하게 누리는 풍요로운 삶 이면에 존재하는 어두운 그림자다. 한때는 도시의 골칫거리였던 폐기물 처리장이 이제는 문화와 예술이 살아 숨 쉬는 공간으로 재탄생했다는 사실은, 그 이면에 담긴 어려움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을 곱씹게 한다. 이는 단순히 물리적인 공간의 변화를 넘어, 과거의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도시재생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부천아트벙커B39는 이러한 도시의 변화와 성장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다. 약 33년 전인 1992년, 부천 중동 신도시 건설과 함께 환경부 지침에 따라 부천 삼정동에 쓰레기 소각장이 건설되기 시작했다. 1995년 5월부터 본격적으로 가동된 이 소각장은 서울과 수도권에서 하루 200톤에 달하는 막대한 양의 쓰레기를 처리했다. 하지만 1997년, 환경부의 조사 결과 해당 소각장에서 허가 기준치의 20배에 달하는 고농도 다이옥신이 검출되면서 심각한 환경 문제와 주민 건강에 대한 우려가 불거졌다. 마을 주민들과 환경 운동가들은 소각장 폐쇄 운동을 벌였고, 한 번 잃어버린 신뢰는 끝내 회복되기 어려웠다. 결국 2010년, 폐기물 소각 기능이 대장동 소각장으로 이전 및 통합되면서 삼정동 소각장은 가동을 중단하게 되었다. 쓸쓸한 폐건물로 남을 뻔했던 이 공간은 2014년 문화체육관광부의 ‘산업단지 및 폐산업시설 도시재생 프로젝트’에 선정되는 전환점을 맞이했다. 이러한 노력 끝에 2018년, 이곳은 복합문화예술공간 ‘부천아트벙커B39’로 새롭게 문을 열며 과거의 오명을 씻고 새로운 역사를 써 내려가기 시작했다.
과거 쓰레기를 태우던 거대한 굴뚝과 소각로는 이제 눈길을 사로잡는 독특한 건축 요소로 변모했다. 소각로는 하늘과 채광을 가득 끌어들여 다양한 각도와 높이에서 감상할 수 있는 ‘에어갤러리(AIR GALLERY)’로 재탄생했다. 햇살이 쏟아지는 이곳은 과거 뜨거운 열기로 쓰레기를 태우던 공간이었음을 잊게 할 만큼 아름다운 풍경을 자아낸다. 건물 안으로 들어서면 폐기물 저장조였던 거대한 콘크리트 공간, 벙커(BANKER)가 압도적인 존재감을 드러낸다. 이곳은 ‘B39’라는 이름의 모티브가 된 핵심 공간으로, 쓰레기들이 마지막으로 향했던 ‘관’이자 ‘마지막 관문’이었던 역사를 간직하고 있다. 벙커와 연결된 쓰레기 반입실은 현재 멀티미디어홀(MMH)로 활용되며 관람객들에게 다채로운 경험을 선사한다. 소각동의 2층과 3층 역시 펌프실, 배기가스처리장 등 과거의 거대한 설비 기반을 그대로 유지하며 전시물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중앙청소실을 리모델링한 아카이빙실에서는 ‘RE:boot 아트벙커B39 아카이브展’을 통해 다이옥신 파동과 시민운동이 어떻게 전개되었으며, 이 소각장이 어떻게 주민들이 함께 즐기는 문화예술공간으로 변모하게 되었는지 생생한 역사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2021년 진행된 공공미술 프로젝트 ‘숲이 그린 이야기’에서는 동네 어린이집 아이들의 그림으로 소각장 상징인 굴뚝 모양의 나무가 무럭무럭 자라 소리와 색으로 가득한 숲을 이루는 모습을 담아내며, 과거의 어두운 기억을 희망찬 미래의 메시지로 치환시켰다.
쓰레기 처리장이 문화예술공간으로 재탄생하는 과정은 과거의 어려운 문제를 극복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낸 성공적인 도시재생의 사례다. 폐기물로 인해 발생했던 환경 문제와 주민들의 고통스러운 기억을 딛고, 예술과 문화를 통해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고 시민들에게는 새로운 휴식과 영감의 공간을 제공한다. 이처럼 과거의 아픔과 현재의 노력이 결합되어 탄생한 부천아트벙커B39는 도시가 가진 무한한 가능성과 끊임없는 변화의 힘을 보여준다. 이러한 공간의 재탄생은 모든 것이 쇠락하고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적절한 지혜와 노력을 통해 새로운 생명을 얻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