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의 최근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0%대 머물던 성장 흐름에 희미한 빛을 비추고 있다. 올해 성장률을 0.9%로, 내년에는 1.8%로 각각 상향 조정하면서, 저성장 국면에서 벗어나 잠재 성장 궤도로 복귀할 수 있다는 기대감을 형성하고 있다. 이는 지난 7월 전망치보다 소폭 상향된 수치로, 한국 경제가 마주하고 있는 침체 국면을 돌파할 수 있을지에 대한 분석을 낳고 있다.
IMF는 이번 발표를 통해 한국 경제가 내년에는 올해보다 대폭 높은 1.8%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우리 경제가 잠재 수준의 정상 성장 궤도로 복귀할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긍정적 전망은 글로벌 경제 상황과 맞물려 더욱 주목받고 있다. IMF는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을 3.2%로, 내년에는 3.1%로 전망하며, 이는 미국 등 주요국의 관세 인하 및 유예에 따른 불확실성 완화, 경제 주체들의 양호한 적응력, 그리고 달러 약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구체적으로 선진국 그룹의 올해 성장률은 1.6%로 수정되었으며, 내년 역시 1.6%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미국은 관세 인하, 감세 법안 통과, 금융 여건 완화 등에 힘입어 올해와 내년 모두 0.1%p 상향 조정된 2.0%, 2.1%의 성장률을 기록할 전망이다. 신흥개도국 그룹의 경우 올해 성장률이 0.1%p 높아진 4.2%로, 내년은 4.0%로 전망하며, 중국은 조기 선적과 재정 확장 정책에 힘입어 올해 4.8%, 내년 4.2%의 성장률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물가상승률은 전반적으로 하향 안정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된다. 올해 4.2%, 내년 3.7%를 기록하며 물가 부담 완화에 대한 기대를 높이고 있다. 그러나 IMF는 세계 경제의 리스크가 여전히 하방 요인에 기울어져 있다고 진단했다. 무역 불확실성, 이민 제한 정책으로 인한 생산성 악화, 재정 및 금융시장 불안, 그리고 AI 등 신기술에 대한 재평가 가능성을 주요 하방 요인으로 꼽았다.
반면, 긍정적인 측면으로는 무역 갈등 완화와 각국의 구조개혁 노력 가속, 그리고 AI 도입을 통한 생산성 향상 가능성을 상방 요인으로 제시했다. 이러한 요인들이 성공적으로 작용한다면, 한국 경제는 IMF가 전망한 1.8% 성장률을 넘어 더욱 견고한 회복세를 보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