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적인 명성과 이동의 자유를 상징하던 미국 여권이 헨리 여권지수(Henley Passport Index) 역사상 처음으로 세계 최강국 10위권 밖으로 밀려나는 상황이 발생했다. 헨리 여권지수가 만들어진 지 20년 만에 처음으로 겪는 이러한 변화는, 과거 2014년 부동의 1위를 차지했던 미국의 위상이 어떻게 변화하게 되었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다. 현재 미국 여권은 말레이시아와 함께 공동 12위로 추락했으며, 이는 전 세계 227개 목적지를 기준으로 평가된 결과다. 이러한 순위 하락은 단순히 통계적인 수치의 변화를 넘어, 국제 사회에서 미국의 영향력과 여행 자유도의 변화를 시사하는 중요한 지표로 해석될 수 있다.
미국 여권의 순위가 하락하게 된 구체적인 배경에는 복합적인 요인들이 작용했을 가능성이 크다. 과거 강력한 외교 정책과 국제 협력을 바탕으로 많은 국가들이 미국 시민에게 무비자 또는 간편한 입국 절차를 제공해왔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의 국제 정세 변화, 특정 국가들과의 관계 악화, 그리고 미국 자체의 정책 변화 등이 다른 국가들의 비자 정책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 또한, 다른 국가들의 여권 파워가 상대적으로 상승하면서 격차가 좁혀졌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최근 아시아 국가들의 경제 성장과 외교적 영향력 확대는 해당 국가들의 여권 순위를 끌어올리는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헨리 여권지수의 평가는 각국 여권 소지자가 비자 없이 또는 도착 비자로 방문할 수 있는 목적지의 수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이러한 비자 정책의 변화는 여권의 실질적인 ‘강력함’을 직접적으로 반영한다.
이번 미국 여권의 순위 하락은 미국의 국제적 위상과 외교 전략에 대한 재고를 요구하는 신호로 작용할 수 있다. 향후 미국이 여권 파워 회복을 위해 어떤 외교적 노력을 기울일지, 그리고 이를 통해 국제 사회에서의 여행 자유도가 어떻게 변화할지 주목할 필요가 있다. 만약 미국이 적극적인 외교 정책을 통해 비자 완화 협상을 재개하고, 국제 사회와의 협력을 강화한다면, 미국 여권의 순위는 다시 상승할 여지가 있다. 이는 미국 시민들의 해외여행 편의성을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국제 사회에서의 미국의 소프트 파워 강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가 단기간에 이루어지기는 어려울 것이며, 지속적인 외교적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