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개 유엔 회원국 중 마지막 미수교국이었던 시리아와의 외교 관계 수립은 한국 외교사의 중요한 이정표를 세웠다. 2025년 4월 10일, 조태열 외교부 장관이 극비리에 시리아 수도 다마스쿠스를 방문해 성사시킨 이번 외교적 쾌거는 오랜 외교적 과제를 해결하고 한국 외교 지평을 전 세계로 넓혔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이는 지난해 2월 북한과만 수교해 오던 쿠바와의 외교 관계 수립에 이어, 모든 유엔 회원국과 수교를 맺는 대기록을 달성한 것이다.
이번 시리아와의 수교는 급변하는 중동 정세와 시리아 내부의 정치적 격변이라는 복합적인 배경 속에서 이루어졌다. 2011년 ‘아랍의 봄’ 민주화 혁명 이후 54년간 이어진 바샤르 알아사드 정권의 세습 독재는 지난해 12월 초, 이슬람주의 반군인 하야트 타흐리르 알샴(HTS)의 다마스쿠스 장악으로 갑작스럽게 막을 내렸다. HTS는 정부군의 저항을 받지 않고 수도를 장악했으며, 알아사드는 후원국인 러시아로 도주했다. 이 과정에서 북한과의 혈맹 관계를 유지해왔던 시리아 정권의 붕괴는 북한의 외교적 입지를 더욱 좁히는 결과를 가져왔다. 알아사드 정권 붕괴 당시 현지 북한 대사관은 서둘러 철수한 바 있다.
시리아 정권의 몰락은 독재 체제가 지닌 구조적 한계점을 명확히 드러낸다. 억압과 통제로 내부 여론을 차단했던 독재 체제는 체제 붕괴 징후조차 감지하지 못한 채 부패와 불신 속에서 한순간에 무너졌다. 더불어, 2023년 10월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발발 이후 중동 지역의 권력 구도가 재편되면서 시리아의 오랜 후원국이었던 이란과 러시아가 큰 타격을 입은 것도 시리아 정권 몰락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란 혁명수비대의 약화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발이 묶인 러시아는 시리아 정부군을 제대로 지원할 수 없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한국은 시리아와의 외교 관계 수립이라는 ‘끝내기 홈런’을 쳤다.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쇠뿔도 단김에 빼라는 말이 있듯, 어렵게 마련된 기회를 놓치지 않기 위해 시리아를 방문했다”고 밝히며 이번 수교의 의미를 강조했다. 향후 한국은 시리아의 경제 재건과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기회를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 시리아는 한국의 경제 성장 경험에 깊은 관심을 보이며 발전 모델을 배우기 위한 실무 대표단 파견 의사를 밝혔고, 조 장관 역시 개발 경험 공유, 인도적 지원, 경제 재건 협력을 제안했다. 전통 가치를 중시하면서도 시장 경제를 이룬 한국의 성공 사례는 새로운 시리아 건설에 희망과 확신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경제 성장의 모범 사례를 배우고자 하는 시리아에게 한국이 중요한 파트너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