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이 인공지능(AI) 분야에서 글로벌 선도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야심찬 목표를 설정했지만, 현실적으로 해결해야 할 중대한 문제점들이 산적해 있다. 특히, AI 생태계의 지역적 불균형 문제는 국가 전체의 잠재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게 하는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국내 AI 산업의 전반적인 경쟁력 강화라는 숙원 과제 역시 시급한 해결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이러한 문제들을 정면으로 돌파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법을 모색하고 나섰다.
과기정통부는 글로벌 AI 선도 기업인 오픈AI와의 업무협약(MOU) 체결을 통해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국가 AI 경쟁력을 한 단계 끌어올리기 위한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마련했다. 이번 협력의 핵심은 한국 AI 생태계의 지역 균형 발전을 도모하는 데 있다. 이는 특정 지역에 집중된 AI 관련 산업 및 인프라를 전국적으로 확산시켜 잠재력이 고루 발휘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또한, 공공부문의 AI 전환을 활성화하여 행정 및 서비스 전반의 효율성을 높이고 국민 편익을 증진시키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미래 AI 시대를 이끌 핵심 동력인 AI 인재 양성을 위한 공동 프로젝트를 지원하며, 국내 스타트업 생태계에 대한 다각적인 지원을 통해 혁신적인 아이디어가 실제 비즈니스로 이어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다. 더 나아가, 오픈AI의 글로벌 AI 데이터센터 구축 및 AI 확산 노력에 한국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한국이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AI 허브 국가로서 위상을 공고히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AI 3대 강국이라는 원대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실질적인 발판이 될 것이다.
배경훈 부총리 겸 과기정통부 장관은 “글로벌 AI 선도기업과 협력하여 국가 AI 대전환을 가속화하고, 국내 AI 생태계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번 오픈AI와의 협력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다면, 그동안 지적되어 왔던 지역 불균형 문제는 점차 해소될 것이며, AI 인재 양성 및 스타트업 지원을 통해 기술 혁신이 촉진될 것이다. 궁극적으로는 이러한 노력들이 결실을 맺어 대한민국이 명실상부한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