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전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는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이하 ‘케데헌’)의 흥행은 기존 한류 현상의 범주를 넘어 새로운 차원을 제시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케데헌’은 단순한 한국 대중문화의 인기를 넘어, 글로벌 문화가 어떻게 로컬 콘텐츠를 성공적으로 전유하고 재해석하는지에 대한 탁월한 사례로 평가받으며, 이는 한국 문화산업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 애니메이션이 해결하고자 하는 근본적인 문제는 한국 문화 콘텐츠가 글로벌 시장에서 겪어온 몇 가지 한계를 극복하는 데 있다. 첫째, ‘케데헌’은 한국에서 직접 제작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한국 문화의 핵심 요소들을 담아내며 글로벌 문화가 로컬 문화를 어떻게 변용시킬 수 있는지 보여준다. 이는 마치 <뮬란>이나 <쿵푸팬더>가 동아시아 문화를 소재로 삼았던 것과 유사한 맥락이지만, ‘케데헌’은 한국인 디아스포라라는 더욱 깊이 있는 서사 자원을 활용한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특히 북미의 한인 2세 원작자 및 제작진의 참여는 한국 문화에 대한 독특한 경험과 애정을 작품 속에 녹여내어, 글로벌 시장과의 효과적인 ‘문화적 중재’를 가능하게 했다.
둘째, ‘케데헌’은 애니메이션이라는 장르적 특성을 적극 활용하여 비서구 문화가 직면해온 문화적 장벽을 낮추는 데 기여한다. 기존 K팝 아이돌들이 ‘아시아성’이라는 한계에 부딪히며 팬덤 영역에 머물렀던 것과 달리, 애니메이션은 인종주의적 복잡성을 희석시키고 전 세계 시청자들이 쉽게 공감하고 캐릭터를 코스프레할 수 있는 여지를 제공한다. 이는 현재 플레이브나 이세계 아이돌과 같은 가상 아이돌 그룹이 해외 투어를 진행하는 등 K팝 문화 속 캐릭터 문화의 진전과 맞물려, ‘케데헌’의 캐릭터들이 세계관을 갖춘 채 글로벌 K팝 무대에 데뷔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낳고 있다.
셋째, ‘케데헌’은 K팝 문화에서 중요하게 작용하는 ‘세계관’, 즉 그룹의 서사를 효과적으로 구축하고 확장시킨다. 이는 유사한 콘셉트의 K팝 그룹들 사이에서 변별적인 정체성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팬들이 몰입하고 해독해야 할 텍스트를 풍부하게 만들어 적극적인 팬 활동을 유도한다. 디즈니의 반복적인 공주 이야기, 일본 애니메이션의 성장 모험, DC와 마블의 우주 대전쟁 서사와 비교했을 때, ‘케데헌’의 인간적이고 공동체적인 세계관 속 걸그룹 및 보이그룹 캐릭터들은 이국적이면서도 매력적인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케데헌’은 수많은 프리퀄과 시퀄로 확장될 수 있는 개방적인 구조를 통해 동시대적 스토리텔링을 실현한다. 헌터스들의 세계 투어 중 로컬 귀신들과 싸우는 이야기는 끊임없이 새로운 로컬 버전의 콘텐츠를 파생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닌다. 이러한 형식적, 서사적 가능성은 한국 근현대사의 굴곡과 그 경험을 품은 광범위한 디아스포라의 역사를 새로운 서사 자원으로 발굴해낸다. ‘케데헌’의 성공은 한류가 단순히 한국의 대중문화 인기를 넘어, 한인 디아스포라의 역사와 미래를 연결하며 또 다른 세계로 나아가는 문을 열었음을 시사한다. 이는 한국 문화가 어떻게 글로벌 문화와 융합하고 새로운 의미를 창출할 수 있는지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로 기록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