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국제사회에서 외교적으로 소외되었던 상황에서 벗어나, ‘민주주의 회복력’을 가진 모범국으로서의 위상을 재확인하고 이재명 정부의 핵심 대외 전략 기조인 ‘실용외교’의 성공을 위한 기반을 다지는 중요한 성과를 거두었다. 이는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반년 만에 정상 궤도로 복귀한 한국 외교의 뚜렷한 발자취를 보여준다.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11일 만인 6월 16일부터 17일까지 캐나다 앨버타주 카나나스키스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참석하며 한국 외교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 이번 정상회의 참석은 경제 성장과 함께 민주주의를 실현하며 국제사회의 칭송을 받았으나 외교적으로 위상이 실추되었던 한국의 국격을 단숨에 회복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유사 가치국들인 G7과의 우호 관계를 재확인함으로써 ‘실용외교’의 가동을 위한 튼튼한 토대를 마련했다.
회의 기간 동안 이 대통령은 서방 선진 7개국 정상들뿐만 아니라 초청된 다양한 국가의 정상들과 폭넓은 만남을 가졌다. 에너지 및 정보통신기술(IT) 관련 정상들과의 논의에서는 에너지 안보와 핵심 광물 공급망 안정화의 중요성을 역설했으며, 인공지능(AI) 및 반도체 분야에서의 국제 협력과 한국의 기여를 다짐했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한국은 국제 질서 운영 거버넌스를 함께 주도하는 책임 있는 강대국의 면모를 보였으며, 향후 G7 확대 시 회원국으로 가입할 수 있는 최우선국의 지위를 더욱 공고히 했다.
비록 짧은 이틀간의 일정이었지만, 이 대통령은 총 9건의 정상회담을 소화하며 우호 협력 강화와 무역 등 다양한 현안에 대한 논의에서 진전을 모색했다. 시릴 라마포사 남아공 대통령과의 첫 대면 정상회담에서는 교역 투자 및 에너지 협력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했으며,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와는 방산 및 자원 공급망 확보에 대한 호혜적 협력을 약속하고 한반도 평화와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소통 강화에 합의했다.
특히, 이 대통령은 진솔하고 격의 없는 태도로 각국 정상들과 친근한 관계를 구축했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브라질 대통령은 이 대통령을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에 초청했으며,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는 핵심 기술 및 방산 분야에서의 전략적 협력을 강화하기로 합의했다. 브릭스(BRICS)의 두 강국 정상들과는 어려운 가정 환경을 극복한 경험을 공유하며 유년 시절의 공감대를 형성하기도 했다.
정권 교체로 지속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던 한·일 관계 역시 훈훈한 정상회담을 통해 미래지향적인 발전 가능성을 열었다. 이 대통령은 이시바 총리와의 만남에서 양국 우호 관계 지속, 경제 협력 증진, 그리고 상호 호혜적인 협력 관계 구현을 위한 발걸음을 내디뎠다. ‘과거 문제는 잘 관리하고 협력의 문제를 더 키우자’는 취지에서 셔틀 외교 복원과 한·미·일 공조 유지 및 발전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며 성숙한 한·일 관계의 기반을 조성했다.
이 밖에도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과는 경제 협력을 포함한 양국 관계 강화에 합의했으며,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와는 북핵 문제 해결 협력을 약속했다. 유럽연합(EU) 지도부와의 정상회담에서는 상호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브뤼셀에서 한-EU 정상회담 개최를 제안받았다. 주최국인 저스틴 트뤼도 캐나다 총리와는 G7 파트너십 강화, 안보, 방산, 에너지 안보 협력 심화에 대해 논의하며 공식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이번 G7 정상회의 참석은 서방 선진국들과의 관계 구축을 통해 실용 외교의 첫걸음을 성공적으로 내딛은 것으로 평가된다. 향후 이재명 정부는 미국과의 관세 협상, 한·미 동맹 역할 변화 및 방위비 분담 문제, 그리고 중국 및 러시아와의 관계 정상화를 통해 대외 관계의 균형과 외교적 자율성을 회복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특히, 한국이 주최하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의 성공적인 개최는 향후 한국의 국제적 위상 제고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나아가, 단절된 남북 관계의 완화를 통해 한반도 평화를 회복하고 북·미 대화 재개를 지원하며 평화통일의 기반을 구축하는 것 역시 중요한 외교 과제로 남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