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이 과학기술 및 인공지능(AI) 분야의 컨트롤 타워를 강화하며 ‘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한 구체적인 행보를 시작한다. 기존의 분산된 정부, 민간, 지방자치단체의 AI 관련 자원과 역량을 효과적으로 결집하고 국가 차원의 AI 혁신을 일관되게 추진하기 위한 ‘과학기술·인공지능 총괄 부총리 체제’가 본격 출범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는 흩어진 정책 추진 동력을 하나로 모아 국가적 역량을 한층 끌어올리려는 전략적 선택으로 풀이된다.
그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AI 3대 강국 도약’이라는 국가적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해왔다. 하지만 관련 정책 추진 과정에서 정부, 민간, 그리고 각 지방자치단체가 개별적으로 보유한 AI 관련 자원과 역량이 효과적으로 통합되지 못하고 분산되어 있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분산된 역량은 국가 차원의 AI 혁신을 가속화하는 데 장애물로 작용할 수 있으며, 글로벌 AI 경쟁에서 뒤처질 수 있다는 우려를 낳기도 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AI 혁신을 위한 범국가적 역량을 결집하고자, 정부는 ‘과학기술·인공지능 총괄 부총리 체제’를 구축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2025년 9월 30일 국무회의를 통과한 정부조직법 개정안에 근거하며, 과학기술 및 AI 분야의 컨트롤 타워 역할을 수행할 부총리를 통해 관련 정책의 수립 및 이행을 총괄 지휘하게 된다. 이를 통해 정부, 민간, 지방자치단체의 AI 관련 인력, 예산, 연구개발 성과 등 모든 가용 자원을 한데 모아 시너지를 창출하고, 국가 AI 혁신 전략의 효율성과 속도를 높여나갈 계획이다.
이 새로운 체제가 성공적으로 안착한다면, 그동안 분산되어 파편화되었던 국가 AI 역량이 하나의 강력한 동력으로 결집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통해 한국은 ‘AI 3대 강국’이라는 원대한 목표 달성에 한 걸음 더 다가설 수 있을 것이다. 정부, 민간, 지방자치단체의 긴밀한 협력과 조율 속에서 혁신적인 AI 기술 개발 및 산업 생태계 조성에 박차를 가하게 되며, 궁극적으로는 AI 기술을 통해 국가 경쟁력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