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뮤지컬 <어쩌면 해피엔딩>이 미국 토니상 6관왕을 차지하며 한류의 새로운 성공 신화를 썼다. 과거에는 상상하기 어려웠던 EGOT(에미상, 그래미상, 오스카상, 토니상)를 완성해가는 K-콘텐츠의 눈부신 성장은 수많은 이들에게 감탄과 자긍심을 안겨주고 있다. 이러한 K-컬처의 글로벌 열풍 속에서 28년 전, 중국 CCTV에서 방영된 MBC 드라마 <사랑이 뭐길래>가 ‘한류’라는 거대한 흐름의 시작점이자 결정적인 계기였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당시 ‘사랑이 뭐길래’가 중국에서 불러일으킨 파장은 단순한 인기 드라마 방영을 넘어, 한국 대중문화가 글로벌 시장에서 통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최초로 확인시켜 준 사건이었다는 분석이다.
당시 <사랑이 뭐길래>가 중국에서 일으킨 센세이션은 기록적인 수치로 뒷받침된다. 1997년 6월 15일, 중국 CCTV에서 ‘아이칭스션머’라는 제목으로 처음 방영된 이 드라마는 당시 기준으로 중국에서 가장 큰 반향을 일으킨 한국 드라마다. 매주 일요일 아침, 온 가족이 TV 앞에 모여 한국의 정서를 공유하게 만들었던 이 작품은 중국 내에서 시청률 4.2%, 평균 시청자 수 1억 명이라는 경이로운 기록을 세웠다. 이는 한국 방영 당시 최고 시청률 64.9%라는 기록만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한류의 실질적인 첫걸음이었다. 종영 후에도 재방송 요청이 쇄도했으며, CCTV는 2차 방영권을 구매해 1998년 저녁 시간대에 다시 편성하는 이례적인 행보를 보였다. 이러한 현상은 한국 대중문화가 중국 시청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기며, ‘한류’라는 용어가 등장하기 훨씬 이전부터 그 현상이 시작되었음을 시사한다.
물론 한류의 기원을 둘러싼 학계의 논의는 다양하게 전개되어 왔다. 1993년 드라마 <질투>의 중국 방영설, 1994년 영화 <쥬라기 공원> 아젠다 등장으로 인한 대중문화 산업 인식 변화설, 1995년 SM 기획사 출범 및 CJENM 영상 산업 진출, 뮤지컬 <명성황후> 초연, SBS 드라마 <모래시계> 방영설 등 여러 학설이 존재한다. 더 나아가 중국에서 ‘한류’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된 1999년 11월 19일을 기원으로 보거나, 대만 언론의 보도를 기원으로 보는 주장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여러 학설 중에서도 <사랑이 뭐길래>의 중국 방영이 가지는 화제성, 상징성, 그리고 무엇보다 실제적인 영향력 측면에서 압도적인 설득력을 가진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비록 1997년을 원년으로 삼을 경우 ‘한류의 역사가 아직 30년이 안 되었다’는 점이 약점으로 지적되기도 하지만, ‘한류 30년’이라는 표현이 등장하고 회자되는 현상은 K-컬처가 우리 사회에 남긴 긍정적 영향과 한국인의 자부심을 보여주는 방증이기도 하다.
<사랑이 뭐길래>의 성공적인 중국 방영은 한국 대중문화의 가능성을 확인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당시에는 한국 드라마나 가요를 폄하하는 분위기도 존재했지만, 이 드라마의 성공을 통해 K-콘텐츠의 높은 완성도와 보편적인 소구력, 그리고 치열한 내부 경쟁 속에서 형성된 제작 역량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후 <겨울연가>, <대장금>, <별에서 온 그대>, <태양의 후예> 등의 드라마와 <기생충>, <오징어 게임>과 같은 글로벌 히트작들이 연이어 탄생했으며, K팝 또한 2011년 SM의 파리 공연을 시작으로 BTS, 블랙핑크 등 세계적인 아티스트들을 배출하며 불멸의 금자탑을 쌓아 올렸다. 이러한 K-콘텐츠의 눈부신 발전은 단순히 중국 시장의 성공에만 기인한 것이 아니라, 창작자들의 끊임없는 노력과 문화콘텐츠 현장의 치열함이 만들어낸 결과다.
결론적으로, 28년 전 중국 CCTV에서 방영된 <사랑이 뭐길래>는 ‘한류’라는 거대한 문화적 흐름을 점화시킨 중요한 사건으로 평가받아야 한다. 비록 현재 한중 관계가 경색되어 ‘한한령’과 같은 어려운 상황을 겪고 있지만, 이러한 외부적 요인에도 불구하고 K-콘텐츠는 세계적인 성공을 거두고 있다. 이는 한류의 성장이 특정 국가에 대한 의존이 아닌, 한국 대중문화 자체의 힘과 창작자들의 열정 덕분임을 방증한다. 1997년 6월 15일, 한국 드라마가 중국 안방극장을 사로잡았던 그날은, 한국 대중문화가 세계 무대에서 당당히 위상을 펼치기 위한 장대한 여정의 시작점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