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중앙일보와 문화일보가 10월 12일과 13일 보도한 기사에서 국가데이터처의 ‘양곡소비량조사’에 즉석밥 등 가공용 쌀 소비와 외식, 급식 등 쌀 소비가 1인당 쌀 소비 통계에서 누락되어 농업 수급 정책이 왜곡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었다. 이는 쌀값 급등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우려를 낳으며 관련 정책의 투명성과 정확성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을 던지고 있다.
해당 언론들은 ‘햇반이 쌀값 급등 불렀다? 1인당 쌀 소비 통계서 누락 논란’ 및 ‘쌀 수급정책 왜 어긋나나 했더니… 즉석밥·급식·외식 등 ‘통계 제외”라는 제목으로 문제점을 조명했다. 즉석밥과 같은 가공식품의 쌀 소비량, 그리고 가정 밖에서의 쌀 소비량(외식, 급식)이 1인당 소비량 통계에서 제대로 집계되지 않으면서, 실제 쌀 소비량보다 과소평가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통계의 허점이 정부의 쌀 수급 정책 수립에 영향을 미쳐, 예상치 못한 수급 불균형이나 가격 변동을 야기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에 대해 국가데이터처는 즉석밥, 외식, 급식 등 쌀 소비가 1인당 쌀 소비 통계에서 ‘0’으로 처리된다는 내용은 사실이 아니라고 해명했다. 국가데이터처의 양곡소비량조사는 ‘가구’ 부문과 ‘사업체’ 부문으로 구분하여 작성되며, 현재 작성 및 공표 중인 통계에는 외식과 급식 소비량이 포함되어 있다고 밝혔다. 다만, 국민의 변화하는 식생활 패턴을 반영하여 향후 쌀 소비량 통계를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갈 예정임을 덧붙였다.
농림축산식품부 또한 즉석밥과 같은 가공용 쌀 소비량 역시 양곡 수급 정책 수립 시 중요한 요소로 포함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즉석밥 등의 쌀 소비량은 ‘1인당 양곡 소비량’이 아닌 ‘사업체 부문 쌀 소비량’으로 발표되지만, 정부는 햅쌀 수요량 추정 시 식용, 가공용, 비축 등 다양한 용도로 분류하여 소비량을 예측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특히 가공용 쌀 소비량은 통계청의 ‘사업체 부분 쌀 소비량’을 기반으로 전망하며, 즉석밥 등 가공용 쌀 소비량이 정부 수급 전망에서 누락되어 전체 쌀 소비량이 지나치게 적게 반영될 수 있다는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고 명확히 했다.
정부는 시장 동향을 지속적으로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방향으로 쌀 수급 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번 보도와 해명 과정을 통해 쌀 소비량 통계의 복잡성과 정부의 수급 관리 노력이 드러났으며, 향후 통계의 정확성과 투명성을 높여 쌀 시장의 안정적인 관리에 만전을 기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