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 좋은 날 공원에 모여 담소를 나누는 어르신들의 모습은 평화롭지만, 그들이 앉아있는 낡고 고장난 등받이 의자는 우리 사회가 직면한 ‘어르신들의 일상 속 불편함’이라는 근본적인 문제를 드러낸다. 겉보기에는 멀쩡한 평상형 벤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르신들은 종종 폐기물 스티커가 붙은 낡은 의자를 선호한다. 그 이유는 바로 ‘불편함’에 있다. 기존 벤치가 등받이가 없고 딱딱하여 장시간 앉아있기 어렵다는 점, 여름에는 뜨겁고 겨울에는 차가워지기 때문이라는 어르신들의 생생한 경험은, 우리의 도시와 마을이 아직 ‘모든 세대가 나이 들어가는 과정’을 충분히 지원하지 못하고 있음을 명확히 보여준다.
이러한 현실은 초고령사회로 진입한 우리나라가 어르신들의 삶을 진정으로 개선하기 위한 정책 수립에 있어 ‘근본적인 질문’을 던져야 함을 시사한다. ‘집 현관 이용에 불편함은 없으십니까?’, ‘공원 시설물 이용 시 무엇이 불편하십니까?’ 와 같은, 일상에서 반복적으로 경험하는 생활 환경에 대한 어르신들의 ‘인식과 경험’을 직접 듣는 것이 시급하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보건복지부의 ‘노인실태조사’와 국토교통부의 ‘주거실태조사’와 같은 국가 승인 통계가 존재하지만, 이 조사들은 주로 ‘집에 방은 몇 개입니까?’ 와 같은 사실 확인에 집중되어 있어 어르신들의 실제적인 불편함을 포착하는 데 한계가 있다.
이에 건축공간연구원 고령친화 커뮤니티 정책연구센터가 2021년 발간한 “어르신들이 이야기하는 건축과 도시공간”은 이러한 ‘경험 체크식 조사’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이다. 이 연구를 통해 화장실의 높은 욕조 높이로 인한 불편함과 위험성, 고르지 못한 보도블록과 짧은 보행 신호로 인한 낙상 경험 등, 기존 실태조사에서 간과되었던 구체적인 문제점들이 드러났다. 욕조의 적정 높이 및 충분한 너비 확보, 앉고 서기에 편안한 변기 설치, 미끄럼 방지 바닥재와 안전손잡이 설치 지원의 시급성, 그리고 어르신 이용 장소의 보행 신호 시간 조정 필요성이 제기된 것이다.
다가오는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될 제5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은 우리나라의 본격적인 초고령사회 대응을 위한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다. 이 계획 수립 과정에서 중앙정부와 지자체는 단순한 사실 확인식 통계에 머물지 않고, 어르신들의 ‘일상적 삶이 비추어 내는 실태와 경험’을 정책의 최우선 순위에 두어야 한다. 이러한 국민 체감형 정책이 제대로 수립된다면, 어르신들은 더 이상 낡고 고장난 의자에 앉아 담소를 나누는 대신, 안전하고 편리한 공원 벤치에서 여유로운 시간을 보내는 일상을 누릴 수 있을 것이다. 이는 곧 우리 사회 전체의 삶의 질 향상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기대를 갖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