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화하는 기후위기와 인공지능(AI) 시대의 도래는 국가 재난 관리 시스템에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최근 이상기후로 인해 대형 화재와 붕괴사고와 같은 복합 재난이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이러한 새로운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국가 차원의 재난 관리 패러다임 전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정부는 과학기술과 디지털 전환을 핵심 동력으로 삼아 재난·안전 대응체계를 강화하는 것을 주요 국정과제로 추진하고 있으며, 이번 소방청의 조직 개편은 이러한 정책 기조에 발맞춘 중요한 조치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와 정부 정책 방향에 부응하여, 소방청은 기존 자율기구인 소방과학기술과를 ‘소방AI기후위기대응과’로 개편한다고 13일 밝혔다. 이는 급변하는 재난 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첨단 과학기술을 재난 안전 관리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결정이다. 새롭게 신설되는 소방AI기후위기대응과는 소방현장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첨단 장비의 연구개발 및 기획 업무를 총괄하게 된다. 더불어, 소방 정책 수립 및 실행 과정에 인공지능 등 첨단 과학기술을 접목하는 과제를 발굴하고, 관련 기술 지원을 체계적으로 수행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궁극적으로 이번 조직 개편은 첨단 기술을 활용한 과학적 재난 대응 체계를 확립하고, 이를 통해 국민들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안전 서비스를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소방청 김승룡 직무대행은 “AI와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소방정책은 기후위기 시대에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핵심 수단”이라고 강조하며, “선제적이고 유연한 조직 혁신을 통해 미래 재난에 강한 안전사회를 만들어 나가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이는 소방청이 미래 재난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국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강력한 의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평가된다.